중기중앙회, 3070개 중소기업 대상 조사결과 발표中企 1월 경영 애로요인, 매출부진-인건비 상승 순
-
- ▲ ▲ 부산항 수출 컨테이너 모습 ⓒ연합뉴스
중소기업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가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경기침체 지속 여파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3일부터 17일까지 307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2025년 2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2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는 67.5로 전월대비 0.6p, 전년동월(75.4) 대비로는 7.9p 하락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넉 달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제조업의 2월 경기전망은 전월대비 1.2p 상승한 75.2이며, 비제조업은 1.3p 하락한 64.2로 나타났다. 건설업(65.1)은 0.9p 올랐으며, 서비스업(64.0)은 전월대비 1.8p 떨어졌다.제조업에서는 ▲금속가공제품(64.6→75.5, 10.9p↑)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75.9→82.5, 6.6p↑)를 중심으로 11개 업종이 전월대비 상승했다. 반면, ▲음료(85.6→76.6, 9.0p↓) ▲섬유제품(71.7→63.6, 8.1p↓) 등 12개 업종은 하락했다.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64.2→65.1)이 0.9p 올랐고, 서비스업(65.8→64.0)은 1.8p 내렸다.서비스업에서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63.5→68.9, 5.4p↑)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75.5→80.8, 5.3p↑) 등 6개 업종은 증가한 반면, ▲교육서비스업(83.3→75.8, 7.5p↓) ▲도매 및 소매업(62.3→58.7, 3.6p↓) 등 4개 업종은 감소했다.▲내수판매(67.4→68.0)는 상승했지만 ▲수출(85.4→83.1) ▲자금사정(70.5→68.7) ▲영업이익(68.2→67.5)은 하락했다. 역계열 추세인 고용(95.4→96.2)도 전월대비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2025년 2월의 SBHI와 최근 3년간 동월 항목별 SBHI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 원자재는 개선됐지만 다른 항목은 이전 3년 평균치보다 악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비제조업에서 수출은 상승한 반면, 다른 항목은 이전 3년 평균치보다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1월 중소기업 경영상 애로요인은 ▲매출(제품판매) 부진(51.4%)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인건비 상승(36.0%) ▲원자재(원재료) 가격 상승(30.5%) ▲업체 간 경쟁심화(24.3%)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지난해 12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2.6%로 전월대비 0.4%p,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