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수입산 車·부품에 25% 관세 부과 발표관세 전선 확대 등 불확실성 증대에 시장 경계감 커져美 4분기 GDP 상향, 주택경기 개선 등에 주가 하방지지 엔비디아 –2.05% 등 AI 반도체 하락 지속
  • 뉴욕증시 3대 지수가 하락세를 이어갔다. 미국의 지난 4분기 국내총생산(GDP) 등 경제지표가 호조세를 보였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발표한 수입차 관세 부담에 상승에 제한이 걸렸다. 

    27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5.09포인트(-0.37%) 내린 4만2299.70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8.89포인트(-0.33%) 내리며 5693.31을 기록했고, 나스닥 지수도 94.98포인트(-0.53%) 하락하며 1만7804.03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27일)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발표에 따른 부담감이 그대로 드러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장 마감 후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산이 아닌 모든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조치는 내달 3일 0시를 기해 발효될 예정이다. 

    관세는 완성차뿐 아니라 핵심 부품에도 25%가 적용된다. 미국은 그동안 승용차·소형 트럭 등에는 2.5%, 픽업트럭에는 25% 관세를 부과해왔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모든 수입차 관세율이 25%로 일원화 되는 것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연합(EU)와 캐나다가 대미 보복 조치에 협력한다면 더 큰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 으름장을 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2일 발표 예정인 상호관세에 대해서는 "범위와 규모가 축소될 수 있으며 '유연하고 관대한 수준'이 될 것"을 시사한 바 있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쉴새 없이 쏟아지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한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불안 속 경제지표는 호조세를 기록했다. 

    미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은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확정치가 직전 분기 대비 연율 기준 2.4%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2.3%)와 잠정치(2.3%)를 모두 상회하는 수치다. 

    개인소비지출(PCE)은 지난해 4분기에 전기 대비 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잠정치(4.2%)를 하회한 수준이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가장 중요하게 바라보는 근원 PCE도 2.7%에서 2.6%로 0.1%p 하향 조정됐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가 공개한 2월 잠정주택 판매지수도 전달 대비 2% 상승한 72.0을 기록했다. 이는 시장 기대치(1.5%)를 웃도는 것으로 지난달 사상 최저치에서 반등한 수치다. 

    고용지표도 개선됐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 22만4000명으로, 직전주 대비 1000명 줄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우려 속 경제지표의 전반적 개선이 주가 추가 하락을 막았다. 

    애플(1.05%), MSFT(0.16%), 아마존(0.11%), 메타(-1.37%), 테슬라(0.39%), 알파벳(-1.71%) 등 대형 기술주가 혼조세를 보였다. 

    엔비디아(-2.05%), AMD(-3.21%), 퀄컴(-0.27%), 브로드컴(-4.06%), 마이크론(-1.05%), ASML(-2.14%), TSMC(-3.03%) 등 AI 반도체 관련주는 하락을 지속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장기물 위주로 상승했다. 

    이날 10년 만기 국채 금리와 30년 만기 국채 금리는 각각 4.366%, 4.723%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3.996% 수준까지 하락했다. 

    상반기 금리 인하 확률은 큰 변화가 없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시장은 현재 연준이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 금리 인하 확률은 9.2%를 기록중이다. 6월 기준 기준금리를 0.25% 인하할 확률 59.8%를 가리키고 있다.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의 미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0.27% 오른 배럴당 69.85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