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궐기대회 이후 투쟁 가속화 우려에 "실력 행사 원하지 않아"정부·국회에 '대화 테이블' 요청 조속한 시일 내 2026년 증원 결정 촉구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의료개혁을 멈추기 위한 '의사 파업' 우려가 커진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 집행부가 국민 불편을 만드는 행위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갖고 있음을 드러냈다. 의료정상화는 국민이 제때 진료를 보는 구조라는 점을 강조했다.

    8일 의협은 브리핑을 열고 "지난 4일 탄핵 선고 후 대부분 정부 부처는 침묵하고 있으나 유일하게 보건복지부에서만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 특별위원회 활동을 지속하겠다고 발표했다"며  "궤변을 멈추고 의료개혁 과제는 의료계와 원점에서 재논의하자"고 밝혔다. 

    의협은 의정 사태 해결을 위한 압박 카드로 오는 13일 전국대표자대회 및 대선기획본부 출범식을 열고 20일 숭례문 일대에서 의료정상화, 의학교육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를 개최한다. 

    투쟁 로드맵이 확정된 것인데, 궐기대회 이후 휴진 등 사태로 번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까지 확장되는 것은 의협 집행부도 원하지 않는 일이며, 그 전에 해결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의사들이 환자 곁을 떠나 진료를 안 하고 병원 문을 닫는 것이 과연 의협이 보여줘야 할 모습인가에 대해서 의협 집행부는 굉장히 회의적"이라며 "국민의 불편을 초래하는 실력 행사가 아닌 이성적 대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그는 "우리가 말하는 의료정상화는 2024년 2월 이전의 상황, 신체적 한계로 병원 방문이 어려운 분들은 제외하고 대부분은 의료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었던 그때로 돌아가도 거기에 더해 잠복해 있던 의료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라고 규정했다. 

    결국 투쟁 로드맵이 확정된 상태이지만 의료개혁 전반적 상황을 원점에서 점검하고 대화 테이블을 열어 해결책을 찾자는 의미로 해석된다. 

    김 대변인은 "대화 테이블은 당사자인 정부와 의료계 참여가 핵심이며 결정을 도와줄 국회가 들어오는 것도 중요하다. 그 정도의 구성을 생각하고 있다. 너무 많은 구성원이 있다면 해결점을 찾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제기된 요구사항과 제안 등을 논의하는 테이블이 마련된다면 빠른시간 안에 의료의 정상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2026년 의대증원 관련 내용도 조속히 정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의협은 의정 사태 해결방안으로 파업이나 휴진 없는 투쟁 노선과 동시에 대화를 요구하는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