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앞세워 기업 뜻 관철하려하나 지적도"조합 입장에서는 고용 매우 불안한 상태"업계 "점포 임대료 낮추기 위한 협상도 이어가"
  • ▲ ⓒ홈플러스
    ▲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와 노동자 간 갈등이 시간이 지날수록 깊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홈플러스가 '직원 보호 최우선'이라고 하는 말을 노동자 측에서 믿을리 만무하다.

    앞서 홈플러스는 지난 3월 법정관리 개시를 신청했다.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업계 2위로, 수천 개의 업체와 거래하고 있는 만큼 경제적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홈플러스는 회생 절차와 관계없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영업을 이어가면서 급한 불은 진화한 것처럼 보였다.

    문제는 홈플러스의 태도였다. 지난 3월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은 국회 정무위원회 홈플러스·삼부토건 관련 현안질의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그는 홈플러스 경영진이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미리 준비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기업어음 'A3-' 등급은 수요가 부족해 거의 발행되지 않는다"며 "3개월간 6000∼7000억 규모 자금 상환 요구가 들어오는데 3개월 내 부도를 막을 방법이 없었고 거래처, 직원들을 보호하려면 (홈플러스를) 회생에 넣고 채권자들과 별도 협의하는 게 맞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직원 보호'를 위해 홈플러스를 회생에 넣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러나 앞서 홈플러스는 직원 보호라는 말이 무색하게 회생절차 개시 전 전국 9개 점포의 폐점을 확정한 바 있다. 지난 5월 전국 27개 점포에 계약 해지를 통보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 측은 "계약 해지 통보를 하지 않으면 권리를 행사할 수 없어서 그런 것(계약 해지 통보)이지 지금까지 점포 임대료를 낮추기 위한 협상도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이 때문에 사실상 홈플러스가 기업 이익을 위해 직원을 앞세웠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홈플러스 노조 관계자는 홈플러스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다. 노조측은 "직원을 보호하기 위해 회생했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조합 입장에서는 고용이 매우 불안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노조에서는 1개 점포 폐점 시 약 1000명의 노동자 혹은 임대 사업주들의 생존권이 위태롭다고 보고 있다.

    상황이 이런 만큼, 홈플러스의 대외적 발언들에 대한 신뢰도는 하락할 수밖에 없다.

    홈플러스가 잃고 있는 신뢰도를 다시 쌓아올리기 위해서는 일방적인 소통이 아닌 양방향 대화가 필요하다. 또 필요에 의한 언급보다는 서로 논의해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지금 이 순간 고용 안정을 누구보다 바라는 것은 노동자일 것이다. 홈플러스 노동자측에서는 "고용보장과 입점업체의 생존권을 보장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노동자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그 말처럼 직원과의 약속 이행을 착실히 해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