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랙웰·루빈 이어 파인만까지 … HBM 차세대까지 수요 꽉 찼다
엔비디아가 'GTC 2025'에서 블랙웰, 루빈에 이어 차세대 GPU(그래픽처리장치)인 파인만(Feynman)까지 선보이면서 여기에 탑재되는 핵심 메모리 HBM(고대역폭메모리) 개발에도 속도가 날 것으로 보인다.메모리업계에서도 HBM 시장 성장세를 이미 확인한지 오래지
2025-03-19 장소희 반도체전문기자 -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기본으로 돌아가 재도약 기틀 다질 것"
삼성전자가 19일 경기도 수원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주주, 기관투자자,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제56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주주총회 의장인 삼성전자 대표이사 한종희 부회장은 참석 주주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지난해 경영성과에 대해 설명했다.한
2025-03-19 이가영 기자 -
SK하이닉스, 'GTC 2025'서 AI 메모리 霸者 입증한다
SK하이닉스가 17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새너제이(San Jose)에서 엔비디아가 주최하는 글로벌 AI 컨퍼런스인 'GTC(GPU Technology Conference) 2025'에 참가해 AI(인공지능) 시대를 이끌 다양한 메모리 제품을 전시한다.'메모리
2025-03-19 장소희 반도체전문기자 -
삼성전자·하만, CJ CGV와 AI 미래형 영화관 만든다
삼성전자와 하만이 CJ CGV와 AI(인공지능) 미래형 영화관 구축을 목적으로 손을 잡았다. 삼성전자의 AI B2B 솔루션인 '스마트싱스 프로'로 상영관을 통합 제어하고, 하만 음향 시스템을 도입했다. 2개의 파일럿 영화관으로 시작하는 이번 협력은 단계적으로 프리미엄
2025-03-18 윤아름 기자 -
LG전자, 올해 4.3조 '영끌' 시설투자 … 관건은 현금 유동성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낸 LG전자가 올해 CAPEX(시설투자)에 4조3000억원을 투입한다. 전년 대비 20% 더 늘어난 금액으로 신모델 개발, 생산 효율 향상 등의 목적이다. 최근 현금흐름이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며 유동성 및 투자 여력에 대해 우려가 제기되지만,
2025-03-18 윤아름 기자 -
삼성·LG, LCD 패널값 상승에 직격탄 … 中 가격 인상에 속수무책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지난해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매입에 12조원이 넘는 달하는 금액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가 LCD 사업을 모두 철수한 만큼 향후 중국업체로의 의존도가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18일
2025-03-18 이가영 기자 -
LG, 추론AI '엑사원 딥' 오픈 소스 열었다 … 오픈AI·딥시크 성능 필적
LG AI연구원이 국내 첫 추론AI인 '엑사원 딥(EXAONE Deep)' 오픈 소스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오픈AI, 구글, 중국의 딥시크 등과 견줄 수 있는 국내 첫 모델로 기존 지식형 AI를 넘어선 능동적인 AI 기술을 구현했다는 설명이다.LG AI연구원은
2025-03-18 윤아름 기자 -
삼성전자, 獨 '유럽 테크 세미나'서 AI TV 신기술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18~19일(현지시간) 양일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2025년형 TV의 차별화된 기술과 인공지능(AI) TV 신기술을 소개하는 ‘2025 유럽 테크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테크 세미나는 2012년부터 전 세계 주요 지역에서 영상·음향
2025-03-18 이가영 기자 -
이재용 "특급 인재 영입해야" … 기술 혁신 거듭 주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삼성의 위기론을 언급하며 기술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적, 성별과 상관없이 인재를 확보해 삼성 고유의 회복력을 되찾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반도체를 중심으로 인력 부족 현상이 대두되면서 삼성 역시 마음이 급해지고 있다.
2025-03-17 윤아름 기자 -
이재용 "메모리 사업부 자만해" … 사업부 콕콕 집어 질책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전 계열사 임원 2000명에 보낸 영상 메세지에서 각 주요 사업부를 돌아가며 질책한 것으로 전해진다.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해당 영상에서 “메모리 사업부는 자만에 빠져 인공지능(AI) 시대에 대처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파운
2025-03-17 김병욱 기자 -
곽동신 한미반도체 회장, "한화세미텍과 상당한 기술력 차이" … HBM TC본더 경쟁 ‘자신감’
곽동신 한미반도체 회장이 HBM(고대역폭메모리) TC본더 기술력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한화세미텍이 시장에 진입하는 등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압도적인 기술력으로 시장 1위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곽 회장은 17일 지난 2월에 이어 사재로 3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2025-03-17 윤아름 기자 -
삼성전자, 승부처 1.4나노 힘빼나 … 파운드리 '속도조절'
삼성전자가 반도체위탁생산(파운드리) 승부처로 불린 1.4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 개발을 포기하고, 2나노 수율 개선에 집중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낮은 3나노 수율과 시장 점유율 하락, 투자 축소 등이 맞물리며 단기 경쟁력 회복을 위한 전략 전환에 나설
2025-03-17 이가영 기자 -
엔비디아 '메모리 하마' 내놓는다 … HBM4 주도권 전쟁 임박
AI(인공지능) 반도체 시장 선두인 엔비디아의 AI 개발자 콘퍼런스 'GTC 2025'가 개막하면서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가속기 '루빈' 공개에 메모리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과거 대비 출시 시점을 6개월 가량 앞당길 것으로 보이는 루빈이 공개되면 여기에 탑재되는
2025-03-17 장소희 반도체전문기자 -
반도체 수출 불황 길어진다 … 삼성전자, 믿을건 'HBM'
미국의 대중국 HBM(고대역폭메모리) 수출 제재가 현실화되며 삼성전자의 마음이 급해지고 있다. 지난해 구형 HBM을 중국에 판매하며 65조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올해는 이 마저 쉽지 않아서다. 삼성전자는 HBM3E, DDR5 등 고부가 메모리 반도체 비중을 높여 수익성을
2025-03-17 윤아름 기자 -
한화세미텍, SK하이닉스에 TC본더 공급한다 … 'HBM 핵심 장비'
한화세미텍이 인공지능(AI) 반도체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 핵심 장비인 TC본더 생산 제품 양산에 성공했다.한화세미텍은 고객사인 SK하이닉스의 퀄테스트(품질검증) 마지막 단계를 최종 통과해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한화세미텍이 HBM용 TC본더를 고
2025-03-14 윤아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