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 산업의 위기가 초래되는 가운데, 주요 원인으로 기형적 시장구조와 급변하는 미디어환경에 종이신문이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조현래 문화체육관광부 미디어정책과장은 9일 열릴 ‘신문 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신(新) 신문지원 제도의 모색’ 토론회에 앞서 제시한 자료를 통해 신문 산업이 작금의 위기에 빠진 원인으로 4가지를 제시했다. △미디어산업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 △신문구독률 저하 및 열독률 하락, 젊은 독자층 감소 △칸막이식 규제로 인한 뉴스미디어 산업의 정체 △경영적 측면 외에 신문 산업의 신뢰 위기 등이다.

    조 과장은 “디지털 미디어 기술 발전과 확산으로 신문과 방송, 인터넷, 모바일 등 미디어 공급자간 경계를 뛰어넘는 무한경쟁 체제로 돌입했지만 미디어 환경의 구조적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결과로서 신문 산업 위기가 초래됐다”고 주장했다.

    조 과장에 따르면 하루평균 인쇄매체 이용시간은 지난 1998년 40.8분에서 2008년 24분으로 줄어들었고, 신문 가구구독률도 같은 기간 64.5%에서 36.8%로 28%p나 하락했다. 매체 신뢰도 역시 TV가 60.7%, 인터넷이 20.0%인 반면 종이신문은 16.0%로 계속해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소비자가 신문보다는 다른 미디어를 신뢰하고, 신문을 통한 정보획득보다는 인터넷(포털)을 통한 정보 수집이 용이해짐에 따라 독자층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 것으로 분석했다.

    조 과장은 “외국의 언론사는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극 대응하고자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 등을 아우르는 종합 미디어그룹으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우리는 칸막이식 규제로 신문사는 한정된 시장 내에서 경쟁을 벌이고, 방송은 독과점 구조에 안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환경적 측면에서 방송과 인터넷은 신속성과 쌍방향성 소통 등으로 독자 신뢰를 구축하고 있는 반면, 신문은 과거와 같이 일방적인 정보전달 기능에 한정돼 있다”고 했고, “내용적 측면에선 일부 신문의 콘텐츠 부족으로 국민과 소통이 원활하지 못해 신뢰를 받지 못하는 위기를 초래했다”고 설명했다.

    김영주 한국언론재단 미디어연구팀장은 한국에서 GDP 규모, 인구규모에 비해 일간지 수가 지나치게 많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았다. 김 팀장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 일간지 수는 153개로, 프랑스(95개)나 네덜란드(35개)보다 많았고 ‘성인 1000명당 유료 일간지 수’도 한국은 6.9개로, 프랑스(1.7개) 네덜란드(2.2개) 오스트리아(2.3개) 등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희용 연합뉴스 미디어전략팀장은 컨텐츠 다양화가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 팀장은 “지금 기자 수가 100여명에 불과한 마이너 신문도 정부 부처를 비롯한 주요 부처나 기관에 모두 출입 기자를 두고 똑같은 경쟁을 펼치고 있다”며 “그러다보니 차별화가 이뤄지지 않고 심층기사나 기획기사, 탐사보도가 부족하다”고 했다. 그는 “정부부처의 보도 자료를 똑같이 베껴 쓰거나 연합뉴스가 서비스한 1단짜리 기사를 확인해 자사 기자 이름을 달아 게재하기 보다는 과감하게 연합뉴스 크레디트를 달아 쓰고, 나머지 분야에 더 집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신문 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신(新) 신문지원 제도의 모색’ 토론회는 한나라당 진성호 의원실 주최로 9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1층 제4간담회장에서 열린다. 진 의원은 “급변하는 언론 미디어 환경 속에 신문 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생존 위기를 맞고 있다”며 토론회 개최 취지를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는 주형일 영남대 언론정보학부 교수의 발제로, 박창신 조선일보 미디어연구소 실장, 조준상 공공미디어연구소장, 이병철 부산일보 사회부 차장, 이희용 연합뉴스 미디어전략팀장, 이상훈 전북대 신방과 교수, 김영주 한국언론재단 미디어연구팀장, 조현래 문광부 미디어정책과장 등이 토론을 벌인다. 토론회에선 국내 신문 산업 위기를 진단하고 프랑스 등 선진국 신문시장 지원정책과 한국 정책을 비교, 분석해 대안을 제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