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사태 후, 축산업 매뉴얼 완전 개편“민관군 합동해 축산선진국으로 간다”
  • [구제역 해법 ④]

    ∎구제역, 100% 예방은 어렵다

    구제역은 감기 바이러스처럼 전염되면서 진화한다. 환절기만 되면 찾아오는 감기와 같이 영원한 박멸 자체가 어렵다. 때문에 구제역 바이러스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이번에도 확산을 막기 위해 민관군이 밤낮없이 방역 활동을 벌였지만 속수무책이었다.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와의 싸움은 길고 험난했다.

    지난해 11월 28일 경북 안동에서 신고 된 의심축이 양성판정을 받은 이후 구제역은 급속도로 퍼졌다. 호남과 제주도 지역을 제외하고 총 150 여건이 발생했다.

    당시 최초 발생 농장주 구제역 여부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타 업체와 분뇨를 거래한 것이 발단이 됐다. 농장주의 부주의로 손쓸 틈도 없이 퍼져나간 구제역 바이러스는 347만 마리 이상의 가축을 도살처분 및 매몰한 뒤 종식됐다.

  • ▲ 지난달 24일 구제역 등 축산 매뉴얼이 완전히 개편됐다. ⓒ 자료사진
    ▲ 지난달 24일 구제역 등 축산 매뉴얼이 완전히 개편됐다. ⓒ 자료사진

    ∎사상 최악의 구제역, 축산업 체질을 바꾸다

    구제역 공포가 일단락된 지금, 축산업 관계자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졌다. 구제역을 100% 막을 수는 없지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했다. 정부 관계부처들도 숨 돌릴 틈 없이 ‘구제역 대책’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지난달 24일 국무총리실과 농림수산식품부 등 관계부처 5곳이 합동으로 ‘가축질병 방역체계 개선 및 축산업 선진화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이번 구제역을 겪으면서 드러난 문제점을 완전히 개편한 것이다. 크게 네 가지가 바뀌었다. 우선 초동대응 체계가 강화됐다. 한 농장주로부터 시작된 이번 구제역을 거울로 삼아 초동대응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빠른 처리를 위해 발생 즉시 위기경보를 최고단계인 ‘심각’으로 발령하게 된다. ‘심각’ 단계에는 해당 농장뿐만 아니라 전국의 분뇨, 사료차량 등에 대해 일정기간동안 이동통제가 이뤄진다.

  • ▲ 방역활동 ⓒ 자료사진
    ▲ 방역활동 ⓒ 자료사진

    중앙정부와 지자체, 민가와 군도 발 빠른 대처에 나서게 된다. 신속한 초기 진단을 위해 시᠊도 방역 기관에 항원진단키트를 보급, 권역별로 거점 정밀분석실이 설치된다. 또한 지자체별로 연1 회 이상 가상훈련도 실시한다. 이는 실무 교육과 함께 예방접종, 매몰지 관리 등 현장실습이 이뤄진다.

    두 번째는 백신접종이 개편됐다. 정부는 ‘백신접종 청정국’ 지위를 획득하는 것이 목표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서는 백신접종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구제역이 최근 2년 동안 발생하지 않으며 최근 1년간 바이러스 부재 사실이 증명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전국의 모든 소와 돼지에 대한 백신접종이 실시된 상황. 바이러스 개발과 검정체계 연구를 위해 ‘백신 연구센터’도 설치된다.

    세 번째는 감염가축 처리 방안이 다양화된다. 최근까지 단순 매몰 방식을 사용했다면 이제부터는 소각과 렌더링 등이 추가됐다. 이는 살처분으로 나타난 구제역 사후처리 문제점을 개편한 것이다. 매몰지는 3년간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환경영향 분석도 강화한다. 살처분 규모에 따른 처리방식 및 사후관리 등에 대한 세부기준도 마련 중이다.

    마지막으로 축산업 선진화를 위한 발판이 마련됐다. 오는 2012년까지 축산업 허가제가 도입된다. 이는 해당 농가에 대한 기록관리, 적정사육두수 준수여부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대규모 농가부터 우선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친환경 축산업을 육성하게 된다. 사육과 운송, 도축 단계를 포괄하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축산업을 유도한다는 것. HACCP 인증. 친환경 인증 농장 제도 등이 정비된다.

    ∎대한민국, ‘축산선진국’으로 한 발짝 가까이

    사상 최악의 구제역으로 물질적,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 애지중지 키우던 가축들을 살처분 시킨 농민들, 구제역 바이러스와 밤낮없이 싸운 공무원들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이번 구제역은 축산업의 체질을 바꿔나가는 값비싼 경험이었다. 이를 계기로 구제역의 발생을 최대한 예방하고, 발생 시에도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마련된 것이다. 개편된 축산업 매뉴얼이 바로 우리 축산업이 가야할 길을 제시해줬다. 향후 민관군이 합동으로 이를 잘 지켜나간다면 대한민국이 ‘축산 선진국’으로 도약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