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삶의 추억을 고스란히 전해주는 곳, 그곳에 가면 숨소리가 정겹고 스쳐가는 옷깃이 부드럽기만 하다. ‘전통시장’은 우리 마음속에 그렇게 간직되어 있다. 하지만 1996년 유통시장 전면개방에 따라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으로 인해 우리의 추억은 조금씩 잊혀져 왔었다.
국회는 지난해 말 전통시장을 비롯한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 대형마트와 SSM의 영업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유통산업발전법을 통과 시켰다. 상인 36만 명의 삶의 터전인 1,517개 전통시장에 긴급 수혈 조치를 취한 것이다.
-
지난 6월 10일 시장경영진흥원과 소상공인진흥원이 공동으로 대형마트·SSM 주변 중소소매업체 1,379개, 전통시장내 점포 404개를 대상으로 의무휴업일에 따른 효과를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평균매출은 전주(6월3일)에 비해 11.7% 증가, 평균고객은 1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적으로 보면 대형마트·SSM 휴업일에 전통시장은 각종 경품행사 및 이벤트, 특가판매 행사 등의 고객참여 행사를 적극 실시해 매출증가 효과를 본 것이다.
정부는 그간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주차장·아케이드 설치, 상인교육 등 시설·경영 현대화 사업을 추진해왔다.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02∼’11년 940개 시장에 2조 5천억원(국비 1조6천억원, 지방비 9천억원)을 지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형마트·SSM과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전통시장은 매출감소 추세를 면치 못했던 것이다.
전통시장이 대형마트·SSM의 영업규제 등 정책적지원에 힘입어 일부 활력을 되찾아가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상권이 위축되고 있어 근본적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하지만 단순히 대형마트·SSM의 영업규제에 따른 풍선효과를 노리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고 불안한게 사실이다.
대형마트·SSM이 휴업하는 날이면 농민·중소협력업체들은 납품 물량 감소로 울상을 짓고, 대형마트내 용역직원, 시간제 근로자들은 일자리를 잃고 수입이 감소하는 현실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대형마트·SSM과 전통시장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근본적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규제에 대한 톨레랑스(용인수준)와 전통시장 및 대형마트·SSM의 입지를 비롯한 관련 생태계에 대한 면밀 조사가 선행되고, 각종 지원정책에 대한 재평가와 전체적인 시장상황을 항시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기적 지원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 40대 이상의 중장년층(65.1%)이 전통시장의 주된 고객임을 고려할 때 20∼30대층으로 소비자 계층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온라인을 통한 마케팅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전국적인 유통망을 가진 우정사업본부가 전통시장 살리기의 일환으로 ‘온라인 전통시장관’을 개설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여기에 유통망 확대를 위해 전통시장 택배 사회적 기업 육성한다면 중소상인과 전통시장이 지닌 취약한 유통구조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전통시장 이용이 기피되고 있는 또 다른 주요한 요인은 주차불편, 상품 다양성 부족, 시설노후 등 여러 가지가 더 있다. 이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시설현대화 지원은 물론 마케팅, 상인교육 및 시장관리, 경영개선, 특성화, 실태조사 및 평가 등 시장경영혁신 지원을 강화하여 전통시장의 자생력을 높여야 한다.
전통시장은 전통과 새로움이 통하는 곳이라고 한다. 대형마트·SSM에 비해 맛과 멋이 있고, 우리 소리와 숨결이 살아 있는 곳으로 자연스럽게 발걸음을 뗄 수 있도록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원과 자구노력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글 : 새누리당 김현숙 비례대표 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