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카메라 개발, "내시경 실용화 앞당겨"내시경 현주소, 검진은 기본 [최소 침습 치료까지]
-
속 보는 거울 [내시경], "어떻게 탄생했을까?"[내시경]의탄생 기원은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 때로거슬러 올라간다.고대 그리스는말이 주요 교통수단인 탓에치질을 앓는 사람이 많았고,이 때문에항문 안쪽을 관찰해 불로 지져 치료하는사람들이 허다했다.이 배경이내시경의 뿌리라고 할 수 있다.[현대의 내시경]은독일의 의사 [보찌니](Philip Bozzini)가손전등과 같은 외관의 [도광기](Lichtleiter, 導光器)를 제작해금속관을요도와 직장, 목에 넣고램프의 빛으로 관찰한 것으로부터탄생 시발점이 됐다.1853년 프랑스의 [데소르모](Antoine Jean Desormeaux)가요도나 방광을 관찰하기 위해 기구를 제작했고,그가 이 기구를 처음으로 [내시경](Endoscope)이라 명명했다.내시경으로 위 관찰에 성공한 것은1868년 독일의 의사 [쿠르마스](Adolph Kussmaul)다.그는데소르모의 내시경을 발전시켜의료 기계 상점에서길이 47cm,직경 13mm의[금속관]을 만들었다.이 금속관을 거리에서 칼을 삼키는 공연을 하는사람에게 삼키게 했지만,인체 내부를 비추기엔빛이 너무 부족했다.이 후독일의 의사가전기 기술자의 도움을 받아전기 조명을 이용한방광경,식도경,위경을 개발했고,폴란드의 한 의사가앞부분의 3분의 1이구부러진 위경을 개발했다.나아가 1932년,한 독일 의사가구부러지는 위경을 만들기에 이르렀다.그러나모든 내시경이금속관으로 만들어져 체내에 삽입되기 때문에환자의 고통이 크고장기가 찢기는 사고 등의 우려가 있어전쟁 전까지는 유럽이나 일본의 일부에보급하는 데 그쳤다.그러다가 결국부드러운 관의 선단부에초소형 카메라를 장착하고소화기 내부를 촬영하는[위 카메라]에 대한 아이디어가서양에서 19세기 말에 등장하게 됐다.하지만 당시이렇게 촬영된 이미지가선명하지 않은 탓에 여전히실용화되기에는 힘든 상황이었다.[위 카메라 개발], "내시경 실용화 앞당겼다?"[내시경]이실용화되기 시작한 때는1950년 [올림푸스]가[위 카메라]를 개발한 때부터다.위 카메라 개발은도쿄의 젊은 의사 [우지 다츠로]와올림푸스사의 카메라 기술자 [스카우라 무츠오]의만남부터 시작됐다.우치 다츠로는치료할 겨를도 없이 죽어가는위암 환자들을 지켜보며위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방법을 애타게 찾고 있었다.그는 우연히 알게 된스키우라 무츠오와 함께위장 내부를 촬영하는소형카메라를제작하게 된다.수많은 우여곡절 끝에1949년말개에게 첫 시제품 실험을 한 뒤1950년 9월 인간의 몸에 카메라를 삽입하는세계 최초의 실험을 성공했다.하지만위 카메라에도문제점이 있었다.위경과 달리뱃속을 실시간으로 볼 수없었기 때문이다.이를 해결하기 위해당시 올림푸스사가 나섰다.1964년 유리섬유로 만들어진파이버 스코프(fiber scope)를 탑재한위 카메라를 개발한 것.직경 8미크론(미크론은 1,000분의 1mm)으로머리카락 굵기의 10분의 1의극세 유리섬유 수만 가닥을 합쳐,영상을 광학적으로 전달하는 원리였다.내시경 본체가 유연하게 구부러지고,검사에 필요한 기술이 쉬워의사들에게 빠르게 확산됐다.진단 영역도식도,십이지장,대장,기관지,담도 및 외과 영역으로크게 확대됐다.또 다른 장점은치료가 가능해진 것이다.인체 내부를 관찰하는 동시에내시경 끝에 삽입된 처치구로병변을 치료할 수 있게 돼몸에 메스를 대지 않고도최초 침습 치료가 가능해 졌던 것이다.[내시경 기술], "어디까지 발전했나?"[올림푸스]社는최초 침습 치료가 가능해진 이후약 60여년간 다양한 종류의 내시경을개발하고 생산함으로써 현재까지세계 내시경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앞서 1985년 비디오 스코프를 출시했다.선단부에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결합소자)가내장돼 있어,그 신호를 영상신호로 변환해TV 모니터에 표시하는 원리다.이로써여러 의사 및 의료 종사자들이검진 화면을 공유할 수 있게 되고진단의 정밀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됐다.이후에도이미지의 고해상도와,[NBI](Narrow Band Imaging, 협대역 화상 강화 기술)에의한 암 검진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됐고,내시경 치료의 응용도 가속화됐다.2002년 내시경에 최초로HDTV 고화질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적용되면서더욱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하고,더욱 [정확한 진단을 가능]케 했다.더 나아가 올림푸스는디스플레이에서 미세 병변의 색깔이도드라지도록 보이게하는 기술을 개발해특허 출원했다.특히이 회사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소화기 내시경 [루세라] 시리즈에 적용된[협대역 화상 강화 기술]인[NBI](Narrow Band Imaging) 기술은파장에 따라빛이 조직에 침투되는 깊이가 달라지는 특성과혈관 속 헤모글로빈의 파장별 흡수 특성을 이용해검진 부위에 파랑, 초록두 파장 대역을 가진 광선을 보내혈관을 더욱 선명하게 해주는 기술이다.이 기술은 현재식도, 위, 대장 등에서 발견되는조기 미세 병변 진단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소화기내과 뿐 아니라 폐암 등과 같은호흡기 분야에도 큰 효과가 있어앞으로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이 밖에도[올림푸스]는 최근일반적인 내시경으로는검진이 어려운 영역을 관찰하기 위해소형 캡슐에 비디오 카메라를 탑재한캡슐 내시경도 개발했다.펜탁스의 EPK-i 전자내시경은세계 최초 125만 화소의 고화질을구현한 게 특징이다.특수영상 시스템인 아이스캔(i-scan)기능이 내장돼병변을 돋보이도록 하여 진단의 정확을 높였다.내시경 현주소? [검진은 기본], "최소 침습 치료까지..."
-
현재 내시경은단순히 관찰을 하는 것 뿐 아니라[처치구를 삽입해 처치까지동시에 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됐다.인체 내부를 관찰하는 동시에내시경 끝에 삽입된 처치구로병변을 치료할 수 있게 돼몸에 메스를 대지 않고도최초 침습 치료가 가능해진 것이다.처치 방법이 더욱 다양해지고처치 가능 범위도 늘어나고 있으며,환자의 리스크는 줄이고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국내 [소화기 내시경 시장]의 현주소는?"국내 병원은내시경의 기술과 시술 수준이세계적이고 사용율이 높다.현재[올림푸스]가국내 시장 전체의 약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펜탁스, 후지논 등이그 뒤를 따라 소화기 내시경을생산 중이다.이 중국내 대학병원의90% 이상이[올림푸스]의 내시경과 부속기구를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올림푸스]는현재까지 소화기 내시경 분야 중심으로 발전해 왔지만,앞으로는 최소침습치료의 가치를 제공하는외과 영역을 강화해 사업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소화기는검진 비중이 큰 분야지만외과는검진 후의 [치료에 큰 비중]이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소화기 내시경 분야는[보는 것] 자체가 [조기검진]이라는 가치를 제공할 수 있지만,외과분야에서는[보는 것]과 동시에 수술 시 [의사의 손]이 되는 치료 기구 개발이중요하기 때문이다.대학병원, [연간 200일 이상 내시경 사용] "A/S 중요성 강조 왜?"최근소화기내과 전문의들은내시경 장비를 선택할 때화질과 사후관리(AS)를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의료기기 전문회사 (주)원익은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에 참석한 전문의 102명을대상으로 [내시경 장비 선택 시 중요한 고려요소는 무엇인가?]를실시했다.그 결과장비의 화질 및 성능이 46.2%,사후관리(AS)가 23.7%그 외 장비가격, 브랜드명성 등이뒤를 이었다.이 같은 결과는국내 경기침체가 심화되면서병원들이 장비선택 시무조건적인 브랜드 명성보다는사후관리에 더 큰 비중을 둔다는 사실을뒷받침 해주고 있다.대형 병원은내시경을 연간약 200일 이상 사용하기 때문에고장 시 업체별 A/S 시스템이 중요하다.특히 개발자들은내시경을 직접 시연해 볼 수 없기 때문에전문 의료진의 체험담이 중요하다.올림푸스는A/S 직원이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수시로 점검하는가 하면,고객과 만남의 자리를 만들어제품 및 서비스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또한 한국 의료사업본부 직원수는약 100여명으로,A/S 인원 또한 비슷한 규모의 인력을운영 중이다.더욱이 [On-Call 서비스 긴급출동반] 시스템을 도입해고객 접수가 완료되는 즉시 긴급 대응하며,A/S를 받는 기간 동안 불편을 최소화 하기 위해내시경 및 전자장비를 무상으로 대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