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는 대처방안 마련해야
-
식의약품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소비자들을 위해 정부는 잘 대응하고 있을까.
[소비자보호를 위한 식품안전 대토론회]는
소비자의 불안감은 아랑곳 않고 유해성 여부에만 목매는 식
정부 기관의 상황 대처법을 꼬집는 자리였다.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최근 식의약품 안전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소비자들과의 효율적인 소통방안 모색을 위해
11개 소비자단체와 함께 [소비자보호를 위한 식품안전 대토론회]를 진행했다.이날 토론회에 앞서 중앙대 식품공학부 하상도 교수는
[식품안전 문제 현황과 대처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하 교수는 전세계에서 일어난 식품 안전사고에 대해 소개하고
정부와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지적했다."일본 방사능 오염 사건의 경우, 정부는
[문제가 없다, 안전하다, 방사능 물질이 100크렐 이하로 검출되나
문제가 있는 정도는 아니다] 라고 말한다.그러나 소비자들은 방사능이 검출되는데 어떻게 안전할 수가 있냐는 불안감이 있다.정부와 소비자는 엇박자였다.정부는 소비자의 눈높이를 생각하지 않는 커뮤니케이션을 펼쳤다.기준치 이내 수준에서 방사능 물질 검출 됐다 하더라도,
인체에 해가 없다 하더라도 소비자들은 방사능 물질 섭취하고싶지 않은 마음이 크다.
인체에 들어가면 잘 없어지지 않는다는데 소비자 눈높이 모르고 계속 안전하다고만 한 정부.차라리 일본산 수입금지 한다고 했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중앙대 식품공학과 하상도 교수하 교수는 [소비자의 눈높이에서 소통할 것]과 동시에
소비자들이 반론을 제기할 수 있을만큼 지식으로 무장하자고 주장했다.서울YMCA 양선희 부장은 쉽고 정확하게 커뮤니케이션 해야한다는 주장에 동의하며,
[소비자의 입장]을 대변했다."방사능 오염의 경우,정부가 말하는 [기준치]를 지적하고 싶다.이게 안전하다는 수치인가.기준치는 복잡하다.세슘의 경우 예를들어 식품은 100을, 우유는 50을, 음료는 10 만큼 기준치를 낮췄다.소비자들은 이걸 다 따질 수가 없다.시민방사능감시센터에서는 안전한 기준치란 없다, 즉 0이라고 말한다.소비자는 왜 불안할까.잘 모르기 떄문에 불안한 것 같다.
소비자에게는 어려운 것들이 많다.
식품법, HACCP 등 정확히 얘기하라고 하면 하지 못한다.
이런 것들이 너무 많기도 하다.정부가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소비자가 정책결정에 직접 참여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
- 서울YMCA 양선희 부장정부는 무조건적으로 [안전하다]라는 말로 국민을 이해시키려하기 보다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소비자에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이러한 학계와 소비자단체의 주장에,
식약처는 수긍하는 반응이었다.이날 참석한 식약처 관계자는 [소통의 문제]가 있다고 인정했다."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올바른 홍보가 되지 못했다.소비자의 마음 속에 행정이 들어가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식약처 식품관리총괄과 이임식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