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업계 전반에 퍼진 '리베이트 근절' 나서중소형 제약사 "영업 위축 될것"
  • 제약업계가 여전히 ‘리베이트’와의 홍역을 치르고 있는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제약협회를 통해서 영업대행사(CSO) 현황조사에 나서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최근 복지부는 한국제약협회 측에 '리베이트 약제 요양급여 정지·제외'와 관련해 "영업대행사 등 제3자를 통한 불법 리베이트 제공 시에도 해당 품목 제조자도 책임 범위에 포함된다"고 통보했다.

CSO가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할 경우, 영업을 의뢰한 제약사에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CSO를 활용한 불법 리베이트의 길이 원천봉쇄 된 셈이다.

최근 제약협회에서는 회원사를 대상으로 총 사외이사수와 이 중 의료기관 소속자가 몇 명인지를 확인해 14일까지 제출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번 조사는 복지부 요청으로 사외이사 현황과 함께 CSO에 대한 자료까지 포함돼 국내 제약업계는 좌불안석이다. 정부의 이번 조사가 '리베이트 투아웃제'를 시행을 위한 사전 정지작업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제약사마다 입장차가 있을 수 밖에 없다"며 "중대형 제약사는 리베이트 근절에 자체적으로 윤리헌장선포식을 하는 등 먼저 동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합법적인 프로모션 등 자본력이 뒷받침돼 리베이트 없이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반면 "중소형 제약사들은 현실적으로 걱정이 될 것"이라며 "이들은 자체적인 가이드가 나올 수밖에 없다. 위법을 하겠다는 건 아니더라도 분명 활동 범위가 줄어들고 경쟁에서 불리하다보니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제약협회 관계자는 "이번 현황조사는 정부에서 진행하고 있지만 제약협회 자체의 능동적인 모습으로 봐도 무방하다"며 "리베이트에 대한 의구심을 없애려는 의도"라고 말했다.
 
이어 "업계 전반에 리베이트가 없어져야 되며 그에 따른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