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치올림픽에 설치된 모두가 주인공이 되는 시대의 자화상
  •  

  지난 1월 동계 올림픽이 열렸던 소치의 한 파빌리온 외벽에는 거대한 얼굴들이 나타나 사람들의 눈을 사로잡았다. 러시아의 이동통신 회사인 메가폰이 설치한 ‘메가페이스 파빌리온’ 전면 외벽에 사람들의 얼굴이 입체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한 것. 

  이 구조물은 2014년 칸 라이언즈 크리에이티비티 페스티벌 이노베이션 부문에 출품된 작품이다. 출품자인 메가폰은 ‘얼굴은 가장 간단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고 했다. 움직이는 3차원 디지털 얼굴 부조이 전달하는 메시지는 과연 무엇이기에 이노베이션 부문 그랑프리까지 차지할 수 있었을까? 


  •   메가페이스 파빌리온 외벽에 나타난 거대한 얼굴들은 동계올림픽 스타 선수들이나 유명인의 것이 아니었다. 그 얼굴들은 휴대전화로 자기 얼굴을 찍어 보낸 평범한 시민들의 것이었다. 

      일종의 ‘키네틱 건축(Kinetic Architecture)’으로도 볼 수 있는 이 설치물은 ‘움직이는 러시모어 산’으로 불리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런던에서 활동하며 ‘미래의 건축가’로 주목받는 아시프 칸(Asif Khan)이 실제로 설계를 담당하기도.  

      원리 자체는 그다지 복잡할 것 없다. 거대한 LED 화면 위에 설치된 1만1천 여 개 액추에이터들이 화면 위로 최대 2미터까지 튀어나오며 일반시민들의 얼굴을 3차원으로 표현해내는 방식이다. 사진의 픽셀 밝기에 맞춰 액추에이터들이 움직여 각각 3차원 픽셀 역할을 했다고 보면 된다. 

      수많은 동계올림픽의 스타들이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바로 그 현장에서 일반 러시아 시민들의 얼굴이 거대한 건물 외벽의 주인공이 된 것은 대단히 시사적인 일이다. 역사는 여전히 우승자만 기록할 것이다. 하지만 수많은 무명의 관중 없이는 역사에 기록할 올림픽도 있을 수 없다. 더욱이 그곳은 공산주의가 태동한 바로 그 나라다. 

      공산주의의 취지대로라면 율리나 리프니츠카야 같은 피겨 스타나 그 자리에서 올림픽 관람을 즐기는 일반시민이나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대등한 위치여야 한다. 공산주의는 경제적 평등을 이루는데 실패했지만, 소셜네트워크는 감성적 평등을 이루는데 어느 정도 성공한 것 같다. 어쨌든 소셜네트워크 덕분에 개개인 모두가 어느 한 ‘페이지’에서나마 주인공이 될 수 있게 됐으니까. 

      미국 사우스 다코타 주의 러시모어 산 화강석에 새긴 네 명의 대통령이 미국 건국의 주인공이라면, ‘메가페이스 파빌리온’에 나타났다 사라진 수많은 ‘인민’들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연결되는 소셜네트워크 시대의 주인공들이다. 그 인민들은 이제 절대권력자를 위해 매스게임을 할 필요가 없게 됐다. 이미 전자장치 위에 달린 1만1천 개의 액추에이터들이 새로운 권력자가 된 인민 개개인을 위해 매스게임을 해주는 시대가 됐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