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KB금융지주는 차기 최고경영자(CEO)를 선임할 때 현직 회장과 경영진에게 우선권을 부여하게 된다. 현직자에게 연임 의사를 가장 먼저 물어본다는 이야기다.
‘관피아’, ‘낙하산’ 등 논란을 사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차기 CEO 선임이 자칫 ‘그들만의 리그’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은 이 같은 내용의 지배구조 개선안을 최근 확정했다. KB금융은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과 안정적인 CEO 승계를 목표로 지난 석 달 동안 지배구조 개선안 마련 작업을 진행해 왔다.
금융당국은 KB금융의 LIG손해보험 인수 관련 승인요건으로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해왔다. 이 개선안은 이 같은 당국의 요구에 대한 KB의 화답이기도 하다.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현직 회장의 임기 만료가 임박했을 때, 연임 의사를 본인에게 직접 묻는다는 점이다. 현 회장이 연임 의사를 밝히면 회장 재직 시절 그룹의 경영 실적과 내부 평가 등을 총체적으로 검토해 연임이 가능할 지 여부를 검토한다.
다만 다른 금융사 CEO나 학계, 관료 출신 등 외부 인사라고 하더라도 해당 분야에서 뛰어난 실적을 올린 사람이라면 1차 후보군에 들어갈 수 있다.
KB금융 관계자는 “가장 중요한 조건은 경영실적”이라며 “본인이 연임 의사를 밝혀도 경영 실적이 좋지 않다면 외부 출신 영입을 적극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조항은 신한금융이 지난 2011년 먼저 도입한 바 있다. 하지만 2년 만인 2013년 폐지됐다. 한동우 회장의 연임 당시 경쟁 후보가 이의를 제기했기 때문이다.
KB금융이 도입한 이번 개선안은 낙하산 인사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하지만 금융권 안팎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경영진이 KB금융을 사유화하기 위해 악용할 수 있다는 비판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외부 입김을 배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면서도 “내부 인사는 내부에 있다는 그 자체가 프리미엄이며, 특히 지주회사 회장은 자기와 우호적인 관계에 있는 인사들을 사외이사에 임명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며 “내부 파벌 형성, 제왕적 권력구조 정착 등의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