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금융사 CEO가 금융당국 수장… 적정성 논란위장전입·다운계약서 문제 제기… 부동산 논란
  •  


    임종룡 금융위원장 내정자에 대한 청문회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오는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릴 예정인 청문회에서는 △금융사 회장 출신이 금융당국 수장을 맡는 데 따른 적정성 논란 △위장전입 및 아파트 다운계약서 작성 논란 △농협금융지주 회장 재직 당시 정보유출 사태와 계좌 무단인출 사태 등 잦은 금융사고 전력 등이 주로 거론될 전망이다.

    도덕성 논란 외에 임종룡 내정자의 정책 방향에 대한 질의가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가계부채 문제 해결 방법, 하나-외환은행의 조기통합 등에 대한 질문이 나올 것으로 금융권에서는 바라보고 있다.

    도덕성 논란이 일긴 하겠지만, 비슷한 시기 청문회를 여는 타 장관 내정자에 비해 논란 정도가 약하고 차기 총선 출마 가능성이 지극히 낮은데다 32년 간 금융 외길을 걸어온 점 등이 인정돼, 금융권에서는 임종룡 내정자가 청문회를 무난히 통과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적정성·부동산·금융사고… 넘어야 할 3가지 산

    임종룡 금융위원장 내정자가 넘어야 할 산은 적정성 논란과 부동산 관련 논란, 농협금융지주 회장 재직 당시 금융사고 전력 논란의 3가지다.

    임종룡 내정자는 기획재정부 차관으로 근무하다가 지난 2013년 6월부터 농협금융지주 회장으로 20개월 근무했다. 관료 출신이 민간 금융회사 최고경영자로 갔다가 다시 관가로 돌아오게 되자, 야당에서는 전형적인 ‘회전문 인사’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청문회에서도 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이 점을 문제삼을 것으로 보인다.

    부동사 관련 문제도 그의 발목을 잡을 전망이다.

    그는 현재 거주 중인 서울 여의도 광장아파트를 10여년 전에 사들인 바 있다. 이 때 그가 신고한 가격은 2억원이지만, 실제로 구매한 가격은 6억7000억원이라는 의혹을 받았다.

    임종룡 내정자는 이와 관련 “당시 공인중개사에게 아파트 매매를 일임해 정확한 신고가액을 챙겨보지 못했다”며 “관행이었다고는 하지만, 이를 직접 챙기지 못한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공식 사과했다.

    위장전입 의혹도 받고 있다. 임종룡 내정자는 지난 1985년 12월 배우자가 소유한 서울 반포동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었으나, 외사촌이 소유한 서초동의 한 주택으로 주소지를 옮긴 것이다. 이와 관련, 그는 “직장주택조합 가입을 위한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농협금융지주 회장 재직 당시 정보유출 사태와 계좌 무단인출 사태 등 잇따른 금융사고 전력도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난 2014년 초에는 NH농협카드 등 카드사 정보유출 사태가, 같은 해 4월과 6월에는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농협 계좌 무단인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중 무단인출 사태는 현재까지 그 범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 금융관료 외길 30년… '무난히 통과할 것' 전망도

    이 같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그가 3가지 벽을 무난히 뛰어넘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30년 이상 공직 재직기간의 대부분을 금융정책 외길을 걸어온 터라, 전문성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임종룡 내정자는 관료 시절 거시경제와 금융정책 부문을 두루 거친 경제·금융통이다. 행정고시 24회로 공직을 시작해 옛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과 금융정책국의 주요 보직을 경험했다.

    이후 청와대 경제비서관으로 근무하면서 업무 추진력과 정책 조정 능력도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논란이 되고 있는 민간 금융사 최고경영자 경험과 관련, 임종룡 내정자 본인은 “부정적인 생각을 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저는 현장에서 근무했던 것이 금융위원장 임무 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발언한 바 있다. 적정성 논란에 대해서는 이를 방어할 자신이 있다는 뜻으로 해석되는 부분이다.

    이 밖에 신제윤 현 위원장이 첫 발을 내디딘 ‘금융개혁’을 임종룡 내정자가 어떻게 이어갈 것인지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질문할 전망이다.

    금융위원장이 풀어 나가야 할 숙제는 가계부채 문제, 기업구조조정, 우리은행 매각 등 눈 앞에 다가온 이슈에서부터 금융산업의 후진성 극복, 저성장 저금리로 성장판이 닫힌 금융권의 활력 찾기, 기술금융과 핀테크 등 신제윤 위원장이 추진하던 기존 정책에 이르기까지 산처럼 쌓여있는 형국이다.

     

    이 같은 핵심 금융정책 과제를 이어갈 능력을 여·야 의원들이 공통으로 검증할 것이라는 게 금융권의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