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형저축 금리 4%…시중은행 예·적금 상품 금리보다 상대적으로 높아 '관심↑'
  • 한동안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던 재형저축이 저금리 시대에 4%대 금리를 보장하며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지난 3월 기준금리 인하로 시중은행의 예·적금 상품 금리가 1%대로 떨어지면서 재형저축이 재주목을 받은 덕분에 한동안 내리막길을 걷던 재형저축 계좌수도 소폭 반등했다.  

    6일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4월 재형저축의 계좌수는 156만3136계좌를 기록, 전월 (156만223계좌) 대비 2913계좌 증가했다. 지난 달 재형저축 신규 가입이 소폭 늘면서 감소세를 멈춘 것으로 파악된다.


          
  • ▲ 재형저축 계좌수 ⓒ 전국은행연합회
    ▲ 재형저축 계좌수 ⓒ 전국은행연합회


실제로 지난 2013년 3월 출시된 재형저축의 계좌수는 그해 6월 183만865계좌로 최대치를 기록한 뒤 지속적으로 하향곡선을 그려왔다. 2014년 3월 기준 168만756계좌로 감소하고 그해 8월 159만1882계좌로 줄어드는 등 출시 이후 계좌 해지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

하지만 지난 3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00%에서 1.75%로 인하한 뒤, 시중은행의 예·적금 상품 금리도 1%대로 떨어지면서 재형저축에 대한 관심이 전보다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별로 차이가 있지만 우대금리 조건을 만족시키면 최대 4.5%(변동금리형) 금리 혜택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시중은행 창구직원은 "재형저축 가입기간은 최소 7년으로 만기가 지나치게 길어 한동안 큰 인기를 끌지 못했지만, 최근 은행 예·적금 상품이 1%대 금리로 접어들면서 재형저축을 찾는 고객들이 전보다 훨씬 많아진 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난 3월 말 시중은행이 출시한 '서민형 재형저축'도 최근 재형저축 가입 계좌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서민형 재형저축은 가입기간이 7년인 기존 재형저축과 달리 3년이 지나 중도해지를 하더라도 이자소득세 14%를 면제받을 수 있다.

3년 후 변동금리가 적용되는 혼합형은 약 3.4%~4.5%, 고정금리형은 약 2.8%~3.25%의 금리 혜택을 볼 수 있다. 총급여 2500만원 이하 혹은 중소기업에 다니는 고졸 이하 청년을 가입 대상으로 하는 이 상품은 기존의 재형저축을 보완해 출시 전부터 관심을 모아왔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로 1금융권에서 원금이 보장되는 예·적금 상품을 많이 가입하는 고객들이 서민형 재형저축 출시에 관심이 많았다"며 "일반 재형저축에서 가장 부담으로 지적됐던 의무가입 기간이 7년에서 3년으로 줄어든 점을 큰 장점으로 꼽았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지난달 재형저축 계좌수가 전월 대비 증가세로 돌아섰는데, 금리 인하나 서민형 재형저축 출시 등 복합적인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계좌수가 왜 증가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최근 시중은행 예·적금 상품 금리보다 재형저축 금리가 높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