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인상, 한국에도 좋은 일"

  • 벤 버냉키 전 미국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한국은 기존의 수출 중심에서 내수 중심 경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한국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버냉키 전 의장은 27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동아일보와 채널A가 공동주최한 '2015 동아국제금융포럼'에 참석, 한국 경제가 수출을 줄이고 내수 쪽에 좀 더 무게를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규모가 커져 버린 한국 경제를 지탱하기엔 제조업 수출 위주의 경제는 한계에 도달했다"며 "수요 측면에선 건전한 소비자 중심의 경제, 공급에선 여러 산업이 발달한 다각화된 경제를 꾸려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 유럽 등의 적극적인 양적완화 정책 때문에 한국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내수 중심 경제가 중요하다며 "수출 지향 경제만으로는 현재 통화 문제에 대처하는 데 한계가 있다. 내수를 진작시켜 경제를 다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이뤄진다고 해도 시장이 예측한 수준이면 충격이 없을 수도 있다"며 "부작용이 있더라도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미국이 금리를 인상한다는 것은 그만큼 미국 경제가 충분히 튼튼해졌다는 얘기"라며 "연준도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 때문에 인상 시점 선택에 신중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10월 미국 연준이 양적완화 조치인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끝냈을 때도 시장엔 별 충격이 없었다며 "자본 흐름을 관리할 수 있는 고도화된 한국에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오히려 유리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버냉키 전 의장은 "현재 주가의 가치평가가 적절한 수준인지는 모르겠지만, 2000년대 이후의 IT 버블, 주택시장 버블과 같은 현상은 보이지 않는다"며 "투자자가 과다한 부채를 떠 안으면 다른 문제겠지만 현재로선 정상적인 현상이고 큰 문제는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대해서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신흥국에 발언권을 더 줘야 했는데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과 일본의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진단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그간 중국은 수출 주도, 대규모 인프라 투자 덕분에 높은 경제성장률을 이뤘지만 이제는 경제 성장 모델을 내수 중심, 서비스 중심으로 바꾸려고 하는 중"이라며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떨어지는 것은 그에 따른 당연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일본은 그동안 지속되던 디플레이션의 악순환 고리를 끊어냈고 정책도 어느 정도 효과를 보고 있다"며 "내수 진작을 위한 구조개혁은 더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