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버스 할부금 납부 유예, 신보 심사 완화키로
  •  

    그동안 금융권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피해 기업에 모두 1722억원의 금융지원을 제공한 것으로 집계됐다.

    추가로 전세버스 사업자에게 전세버스 할부금 납부를 유예해 주고 신용보증기금의 보증 심사 때 피해 기업에 대해선 심사조건을 완화해 주기로 했다. 

       

    금융위원회가 메르스로 피해를 본 대한병원협회, 대한상인연합회, 전국전세버스연합회, 한국관광협회중앙회 및 각 금융업권 관계자들과 3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금융위는 금융권이 지난 15일 이후 메르스 피해 업종에 총 791건 1722억원의 금융 지원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대출이 705건 1582억원, 보증 지원이 86건 139억원이다.

     

    은행권은 기존 대출의 만기를 연기하거나 원리금 상환을 유예해 주고, 신규 대출을 받을 때는 업체당 최고 3억원 이내에서 최대 연 1.0%포인트의 금리 감면 혜택을 주고 있다.

     

    지원 업종은 운수업, 외식업, 여행업, 숙박업, 병.의원, 제조업이다.

     

    신보와 기술보증기금은 기존 보증의 만기를 연장하거나 신규 보증 제공시 한 기업당 3억원 이내에서 보증료·보증비율을 우대해 준다.

     

    금융위는 채권추심회사의 추심을 유예토록 하고 미소금융을 통해 전통시장 상인을 지원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임종룡(사진 중앙) 금융위원장은 "메르스 피해 업계 지원 과정에서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전 금융권이 피해업종을 직접 찾아 나서 달라"면서 "메르스 여파가 완화되더라도 피해업체가 완전 정상화될 때까지 금융불이익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종룡 위원장은 이날 피해 업권의 건의를 받아들여 전세버스 사업자에게 전세버스 할부금 납부를 유예해 주고 신보의 보증 심사 때 피해 기업에 대해선 심사조건을 완화해 주기로 했다. 이에 따라 메르스로 인한 매출감소분을 고려한 추정매출액이 향후 1년간의 보증 심사 때 활용될 전망이다.

     

    임종룡 위원장은 전세버스 부가가치세 납부 유예, 메르스 피해 의원 손실액 보전 등의 건의사항을 국세청, 기획재정부 등 소관부처에 전달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