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반발 변수, 부채비율 낮추기, 스페인으로 확산 가능성
  •  

    그리스와 채권단 간의 구제금융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그리스의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탈퇴(그렉시트) 우려는 사라졌지만, 아직 위기가 완전히 끝난 게 아니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아직 넘어야 할 산이 3가지 남아있기 때문.

     

    첫번째 과제는 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가 독일 등 채권국들의 강경한 요구를 대부분 수용한 데 따른 그리스 국내의 반발 가능성이다.

     

    집권 시리자당 내부와 그리스 국민들 사이에선 "이럴 바엔 국민투표는 왜 했느냐"면서 배신감을 표출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당장 이번 합의안을 반영해 15일(이하 현지시간)과 22일 의회에서 경제개혁 관련 법안들을 통과시키는 것부터 만만찮아 보인다.

     

    법안들이 통과되더라도, 의원들의 이탈로 차후 연립정권이 붕괴되고 초기총선 가능성이 높아진다면 정치적 혼란이 심각해질 수 있다.

     

    둘째는 그리스가 제기한 채무 탕감이 받아들여지지 않고 만기 연장과 이자율 조정에 그쳤기 때문에 향후 부채비율을 낮추지 못한다면 언제라도 다시 그렉시트 이슈가 재부각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스는 관광업을 제외하면 이렇다 할 성장 드라이버가 없어, 높은 부채비율을 의미 있게 낮추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는 그리스 구제금융 사태의 해석 여부에 따라 10월의 포르투갈, 11~12월의 스페인 선거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이다.

     

    독일과 핀란드 등 북유럽의 우파 정권들이 채권단 협상에서 강경한 태도를 보인 것은 하반기 유럽 각국의 선거에서 극좌파의 득세와 긴축 반대세력 확산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이들 국가들에서 긴축정책에 대한 반감이 높아지면서 극좌파 정부가 들어서게 되면 그리스와 같은 이슈가 포르투갈과 스페인에서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신환종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구제금융 협상 극적 타결로 단기적으로 그렉시트 이슈는 수면 아래로 잠복하겠지만, 그리스의 정치적 안정과 경제성장 속도가 빠르게 회복되지 않는다면 1~2년 내로 그렉시트 이슈가 재부각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