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식 설계 더한 주상복합 분양 급증
  • ▲ 래미안 이촌 첼리투스 전경.ⓒ삼성물산
    ▲ 래미안 이촌 첼리투스 전경.ⓒ삼성물산

    분양시장의 미운 오리로 전락했던 '주상복합'이 다시금 백조로 부활했다.

    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7월 27일까지 분양된 주상복합은 전국 총 1만327가구다. 올 안에 전년 공급량(1만2157가)을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 분양 물량은 서울 4879가구, 경기 4686가구, 부산 762가구로 수도권에 집중 공급됐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분양된 이들 단지는 대부분 대형 건설사들이 시공을 맡았다.


    현대건설은 서울 성동구에서 왕십리뉴타운3구역센트라스1차를 선보여 1순위 12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 100% 계약을 마쳤다.


    롯데건설도 금천구 독산동에서 롯데캐슬 골드파크3차로 흥행돌풍을 일으켰다.


    포스코건설은 광교신도시에서 광교 더샵을 분양해 계약 나흘 만에 완판을 기록했다. GS건설도 부천 옥길지구에서 부천옥길자이를 공급해 계약률 100%를 보였다.


    이처럼 주상복합이 인기를 되찾은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아파트의 설계를 도입한 결과다. 타워형 위주의 설계에서 판상형 설계로 변화를 꾀한 것이다.


    초기 주상복합은 고급 주택으로 '성냥갑' 같은 일반 아파트와 차별화를 선언, 초고층 타워형으로 조성됐다. 서울 도곡동 타워팰리스가 대표적 예다.


    판상형에서 벗어난 주상복합은 외관부터 고급스러웠다. 여기에 집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오면 상가가 있고 인근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교통요지에 조성돼 집값도 뛰었다.


    하지만 상가와 한 건물에 조성되면서 높은 관리비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여기에 낮은 전용률, 창 개폐 문제로 인한 환기 등이 단점으로 불거졌다.


    결국, 부동산경기 침체와 함께 고가의 주상복합은 직격타를 맞고 침체 일로를 걸었다. 당시 분양한 일부 주상복합은 아직 미분양으로 남아 있다.


    이에 건설사들은 역세권 등 고가의 용지에 조성되는 주상복합을 부활시키기 위해 일반 아파트와 혼합한 설계를 도입했다.


    우선 관리비 문제 해결을 위해 상가를 별동으로 뺐다. 대로변에 상가를 길게 늘어세운 '스트리트형' 상가를 도입한 것이다. 또 오피스텔과 아파트, 상가 이용객의 동선을 구분해 입주민의 불편을 최소화했다. 특히 타워형에서 판상형으로 변화하면서 전용률을 7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창문 역시 개폐가 잘되기 바꿔 환기문제도 해결했다.


    이처럼 탁월한 입지조건에 주거만족도를 높인 결과는 높은 청약률과 계약률로 이어졌다.


    하반기에는 중흥건설의 광교신도시 중흥S클래스, 포스코건설의 기흥역세권 기흥역 더샵과 대구 이시아폴리스더샵 5차, 대우건설의 안산 메트로타운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등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