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사외이사 1인 임명권 보장-10% 수익률 보장 불가 가닥
  • ▲ 우리은행 매각의 최대 관건은 결국 가격이다. 중동펀드는 경영권 참여와 수익률 보장 등을 앞세워 정부와 밀당을 벌이고 있다ⓒ뉴데일리 DB
    ▲ 우리은행 매각의 최대 관건은 결국 가격이다. 중동펀드는 경영권 참여와 수익률 보장 등을 앞세워 정부와 밀당을 벌이고 있다ⓒ뉴데일리 DB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한 지분 매각 소식이 감감하다. 한두달 전만해도 연내 가닥이 잡힐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았지만 최근들어 다시 '신중모드'로 접어든 모양새다.

    금융위원회와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주변에선 "가격은 물어보지도 않더라" "조바심낼 필요가 없다" 등 김빠지는 소리가 잇따른다. "투자계약약정서를 이르면 11월쯤 체결할 것으로 보인다" "가격만 조금 올라간다면 잘 해결 될 것 같다"는 우리은행발 소식은 허허롭다.

    가장 최근인 4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우리은행 주가 좀 올라갔는데, 매각 진행 상황을 말해달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매각 구조에 관련된 협의부터 진행하고 있다. 가격까지는 아직 (협상에) 못 이르렀다. 저쪽에서 얼마를 어떤 구조로 사고 싶어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가능한지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뇌가 읽혀진다.

  • ▲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논의중'이라는 말을 되풀이 했다
    ▲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논의중'이라는 말을 되풀이 했다


    그렇다면 우리은행 지분 10% 인수 의사를 밝힌 아랍에미리트 국부펀드인 아부다비투자공사(ADIC)와의 실무협상은 어디까지 왔을까. 당국은 철저히 함구로 일관하고 있다. 민감한 질문에는 NCND(확인도 부정도 않음) 전략이다.

    주변의 얘기를 종합하면 ADIC와의 협상은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다. 10% 가량의 과점주주로서의 지분 매입은 이해를 같이한다.

    6% 정도의 지분 의결권을 포기해야 하는 게 걸림돌이지만 양측 모두 접점을 찾고 있다. 현행 금산분리법상 ADIC는 비금융주력자본으로 분류대 4% 이상 의결권을 보유할 수 없다. 사외이사 1인 임명권이 해법으로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부펀드들이 주주이익 극대화를 위해 이사회에 참여하는 방안은 금융회사 지배구조에도 긍정적일 수 있다. ADIC가 10%의 SI(전략투자자)를 결정할 경우 사우디국부펀드가 4%로 참여할 것이라는 소식도 들린다. 쿠웨이트투자청(KIA)과 두바이투자청(ICD) 바이어 풀을 넓히려는 노력도 계속된다.

    난감한 것은 중동 국부펀드들이 향후 10% 이상의 최저수익률을 보장해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하지만 최저수익률을 정부가 보장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중동펀드들도 이같은 점을 잘알고 있다. 결국 시세 보다 높은 가격을 받으려는 금융당국을 압박해 가격 실리를 취하려는 액션이라는 분석이 많다. 그래서 경영권 참여와 최저수익률 보장의 중간쯤에서 가격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는 관측이 높다.

     

  • ▲ 금융위와 공자위는 주당 1만1300원을 마지노로 여기고 있다@
    ▲ 금융위와 공자위는 주당 1만1300원을 마지노로 여기고 있다@


    금융위는 2016년도 재고자산매각대 수입 계획안에 우리은행 주식 매각대금을 9870억원으로 편성했다. 보유하고 있는 우리은행 주식 48% 중 16%인 3억2507만1045주를 주당 가격 1만1324원을 기준으로 한 결과다.  금융위는 은행 매각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라 매년 진행하는 기계적인 편성일 뿐이라고 하지만 나름 의미가 있다.

    우선 16% 매각 계획이 눈에 띈다. 과점주주 매각방식의 쪼개팔기를 반영한 결과다. 최근 1년 (2014년4월∼2015년3월) 거래량 가중평균 주가를 기준으로 정했다지만 주당 가격 1만1324원은 진일보한 결과다. 그동안 당국은 공적자금 회수의 마지노선으로 4조7천억의 공적자금을 모두 회수할 수 있는 주당 1만3500원을 줄곧 유지해 왔다.

     

    가격 족쇄를 벗기 위해 국회 속기록에 "공적자금 원금회수가 금융당국의 의무는 아니다" "우리은행 지분 매각 가격이 '가장 공정한 가격'인 시가보다 부당하게 낮지만 않다면 배임은 아니라고 본다"는 등을 남겨놓기도 했지만 쉽사리 가격를 낮추지는 못했다. 오죽하면 우리은행 주가 반등은 당국의 의지와 입에 달렸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공적자금 회수 의무를 맡은 공자위도 기류 변화가 엿보인다. 공자위 주변에서는 전액 회수를 할 수 없다면 최소한 주당 1만1300원 이상은 돼야 한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금융위와 궤를 같이하는 대목이다.

    결국 우리은행 지분 매각의 초점은 중동펀드 SI에 사외이사 1인 임명권을 주고 주당 1만1300원 정도의 가격을 받을 수 있느냐로 모아지고 있다.

    겨울이 오기전 늘 다운된 분위기에 좀체 신바람을 내지 못하는 우리은행 직원들의 어깨에 힘이 실릴 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