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투명성 제고안 이슈화 부담... 주택경기 둔화 우려에 건설사
  • ▲ 자료사진.ⓒ뉴데일리경제
    ▲ 자료사진.ⓒ뉴데일리경제

     

    연말 건설업계가 울상을 짓고 있다. 정부의 부실 건설사 퇴출 움직임, 금융권의 회계·대출 압박, 해외건설 수주 부진 등이 이어진 탓이다.

    7일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올해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된 건설사는 롯데물산(AA-), 계룡건설산업(BBB), 동부건설(D), SK건설(A-), GS건설(A), 태영건설(A-), 포스코건설(A+), 한화건설(BBB+) 등이다.


    이처럼 건설사들의 신용등급 강등이 이어진 가운데 최근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이 부실기업 퇴출을 언급, 건설업계에 칼바람을 예고했다.


    강 장관은 "입찰제도와 보증제도 변별력을 높여 시장 기능을 강화, 부실기업은 퇴출당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는 단순시공 능력만으로는 부족하다며 경쟁력 있는 산업생태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규모 구조조정 칼날이 건설업계를 향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미 금융권에서는 부실기업(한계기업) 선별을 위한 지침을 내린 상태다.


    금융감독원은 한계기업 선별 기준은 부채비율 100% 이상이면서 여신액 500억원 이상인 주채무계열 중 △최근 3년 중 2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배 미만 △2년 연속 마이너스 영업 현금흐름을 보인 곳 등이다.


    오랜 불황을 겪은 만큼 많은 건설사가 해당 기준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실제로 30대 건설사의 48%가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이다. 대부분 주택사업이 금융권으로부터의 차입을 전제로 개시되고 준공 기간이 최소 2년 이상이기 때문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수주산업 특성상 원가율이 높은 공사도 현금흐름과 이자보상배율 등에 영향을 미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며 "획일화된 평가 기준으로 건설사를 한계기업으로 선별하는 데 무리가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건설업계는 회계 투명성 제고 방안을 놓고 금융권과 각을 세우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수주산업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체 회계 투명성을 강요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금융위는 사업 규모가 매출의 5% 이상인 사업장의 경우 예정원가, 공사진행률, 미청구공사의 회수 가능성, 충당금 등을 분기마다 재평가해 반영, 공시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상위 25개 건설사는 금융위 정책에 대한 탄원서를 금융위와 국회 정무위원회에 보냈다. 이어 대한건설협회,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전국경제인연합회 등이 수주산업 회계 투명성 제고 방안에 대한 공동의견서를 금융위와 한국회계기준원에 제출했다.

    건설업계는 금융위의 회계 투명성 제고 방안이 시행되면 공사 원가가 드러나 수주전에 치명적이라는 반응이다.

    당장 경쟁이 치열한 해외시장에서 상대 업체에 정보를 제공하는 꼴이 된다는 것이다. 또 발주처가 이를 악용할 소지도 크다는 우려다.


    이에 건설업계는 건축·플랜트 등 부문별로 공시하는 방안을 절충안으로 제시했다. 도입 시기도 2017년으로 늦춰 달라고 요구했다.


    이처럼 연말 건설업계가 악재에 빠진 가운데 4분기 실적 역시 만족스럽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대부분이다.


    증권업계에서는 건설사들이 올 4분기까진 해외 손실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중동 등에서 수주했던 부실 사업장이 마무리되지 않아 추가 손실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실적 견인차 역할을 한 분양시장도 조금씩 사그라지는 분위기여서 실적 기대치를 밑돌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지난 11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 역시 89.5로 전월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12월 전망치도 11월 대비 2.6포인트 낮은 86.9로 예상됐다.


    건설사들의 체감경기가 하락한 것이다.


    이홍일 연구위원은 "주택경기 호조세가 공급 과잉 우려와 금융정책 기조 변화, 시중금리 인상 등에 의해 둔화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체감경기지수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