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6일 국회에서 대국민연설을 하기로 한 데는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관련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다.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는 북풍을 선거에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된 데다 개성공단 전면중단 조치에 대한 국론이 반으로 나눠진 상황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4일 연합뉴스와 KBS가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54.4%는 개성공단 전면중단 조치를 "잘한 일"이라고 답했다. 반면 "가동해야 한다"는 답변도 41.2%나 됐다. 

중앙일보가 15일 발표한 조사에서도 개성공단 중단 '찬성'이 54.8%, 반대가 42.1%로 나타났다.
번지는 남남(南南)갈등 불씨가 더이상 확대돼서는 안된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남북 관계 단절까지 고려하고 꺼내든 대북 전략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가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됐다. 

실제 개성공단 가동 전면중단 조치 이후, 야당 일부에서는 "정부가 총선을 앞두고 북풍 전략을 펴고 있다"는 주장을 쏟아내고 있다. 대북 압박 공세를 높여가는 정부에게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박 대통령이 이번 대국민기자회견 장소를 국회로 택한 데도 정치권을 향한 '메시지'라는 분석에 힘을 보태고 있다. 박 대통령은 2013년 취임한 이래 매년 국회에서 시정연설을 했다. 특정 주제를 두고 연설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연설 전후로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과 만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정부의 대북 정책을 '총선'과 연계해 몰아가는 야당을 직접 압박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이 자리에서 노동개혁법, 테러방지법 등 경제활성화법 처리를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기존의 경제활성화법 외에 대부업법, 서민금융법 등 10개 법안을 추가로 지정, 국회에 처리를 호소해왔다. 다만 북핵 정국으로 경제입법의 동력이 약해지면서 국회를 찾아 다시 한 번 19대 국회 내 처리를 요청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