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장애인 등 대상 맞춤형 복지 강화 목표
  • ▲ ⓒ 경기도 자료 제공
    ▲ ⓒ 경기도 자료 제공


    경기도가 관할 읍면동 사무소에 기존 복지팀 외에 ‘맞춤형 복지팀’을 구성·설치하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읍면동 복지허브화 조기 정착 방안’을 24일 발표했다.

    ‘읍면동 복지허브화’는 전국 읍면동에 맞춤형 복지 전담팀을 구성해 사각지대 없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정부가 올해 초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추진계획을 밝힌 사업이다.

    경기도는 읍면동 복지허브화 조기 안착을 위해 읍면동 주민센터의 조직, 인력, 기능 등을 강화하기 위한 입체적인 지원을 추진할 방침이다.

    먼저 읍면동에 기존 복지팀과 별도로 ‘맞춤형 복지팀’을 설치하고, 팀장을 포함 3명 이상의 전담 공무원을 배치하기로 했다. 읍면동장에 복지직 또는 복지업무 관련 경력자를 배치하는 ‘읍면동장 복지경력 목표제’도 도입할 예정이다.

    맞춤형 복지팀은 어르신이나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집중적으로 방문·상담하는 ‘찾아가는 서비스’, 대상자별로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서비스 지원’,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을 활용한 민간조직과의 자원 연계역할 등을 맡는다.

    복지 서비스가 강화된 만큼, 읍면동 주민센터의 명칭도 ‘주민복지센터’로 변경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올해 전국 17개 시도 사업목표인 877개소 중 18.7%에 해당하는 164개 읍면동주민센터를 대상으로 복지허브화를 추진한다. 도내 전체 553개 동에 대한 복지허브화는 오는 2018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도는 복지허브화의 조기 추진을 위해 경기도 복지전달체계 전담팀을 구성하고, 맞춤형 복지팀 설치 후 업무분장 및 역할 등 시군 특성에 맞는 컨설팅을 지원키로 했다.

    경기도는 이날 구체적인 세부 추진 계획도 내놨다.

    내용을 보면 도는 시군구별로 ‘읍면동 복지허브화’를 2개소 이상 의무적으로 추진한다. 일반구는 구별로 2개소 이상, 구가 없는 시군은 인구 규모에 따라 2~4개소에 ‘읍면동 복지허브화’를 각각 추진한다. 예를 들어 구가 4개인 수원시에는 8개 동에 맞춤형 복지팀이 설치된다.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 시군에는 리모델링비, 사례관리 사업비, 홍보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1개소 당 2천만 원을 지원한다.

    맞춤형 복지팀 신설로 인력 확충에 어려움을 겪는 시군에는 민간사례관리사 220명 등 민간전문가를 순환 배치해, 인력 부족 어려움을 해소할 예정이다.

    김문환 경기도 무한돌봄복지과장은 “그동안 우리 도는 복지전달체계 개편에서 선도적 역할을 해왔다.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성공적인 조기 안착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