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권에 전운이 감돌고 있다.
금융당국과 은행연합회가 성과연봉제 도입과 관련 임단협 교섭 전부터 강하게 압박하면서 금융노조와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는 2차 총회를 열고 성과연봉제 도입 및 저성과자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후속조치를 밝혔다.
후속조치에 따르면 △2016년 임금 동결 △신입직원 초임 호봉제 임금테이블 배제 △신입직원 초임 삭감 △호봉제 폐지 및 성과연봉제 연내 도입 등이다.
특히 사용자협의회는 노사공동 TF 구성을 위해 금융노조에 협조 공문을 보낸 상태다.
사용자협의회는 17개 은행과 금융 공기업 등 34개 금융사가 참여하는 사용자 단체로 금융노조와 산별 교섭을 진행한다.
아직 임단협 교섭대표가 선정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올해 임단협 교섭방향을 먼저 밝힌 것은 이례적인 상황이다.
올해 임금 동결에 대해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금융권 수익성이 악화되는 가운데 현행 연공 중심의 호봉제는 비용을 지속적으로 상승시켜 금융권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성과와 능력에 따라 임금이 결정되는 성과연봉제 도입 등 임금체계를 개편함으로써 임금의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현안 해결을 위해 금융노조에도 노사공동TF 참여를 제의했으나 동의하지 않아 사측 회원사로 구성된 자체 TF를 출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면 금융노조는 성과연봉제 도입과 관련해 무대응을 고수하며 향후 대응방안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금융노조는 각 지부별 대표와 밤샘 토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올해 임금동결도 수용하기 어려운데 성과연봉제 도입까지 거론하는 것은 임단협을 하지 말자는 것”이라며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총파업을 원하는 게 아닌지도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동안 은행산업이 어려울 때마다 임직원들이 임금동결, 급여반납 등으로 위기극복을 위해 동참해왔는데 이 같은 노력은 헤아리지 못한 채 또다시 신입직원을 볼모로 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실 은행권의 신입직원 급여 삭감은 지난해 2009년 금융위기 때도 적용된 바 있다.
당시 논리도 고임금 논란과 함께 신입 직원의 급여 20%를 삭감해 채용을 늘린다는 명분이었다.
하지만 정규직 직원 수가 늘었기 보다는 시간제근무자, 고졸 채용과 같은 비정규직원만 늘었다.
고임금 논란의 핵심은 중·고참급 직원인데도 애꿏은 신입직원 급여를 삭감하는 이유는 아직 노조 가입이 안돼 노조의 보호 밖에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SC은행이다.
SC은행의 경우 올해 채용한 50명의 신입행원부터 성과에 따른 차등연봉제를 은행권 최초로 도입했다.
현재 300명의 추가 채용을 진행 중인데 이들의 경우 비정규직이다. 지난해 961명을 희망퇴직으로 내보내고 그 자리를 비정규직으로 채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