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학연 추진단 활용 공학교육혁신체계. ⓒ교육부
    ▲ 산학연 추진단 활용 공학교육혁신체계. ⓒ교육부


    공과대학 교육 품질제고를 위해 인증기준이 개선되고 취업·창업 역량 강화를 위한 공대생의 현장 교육 참여기회를 확대한다.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이수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 이공학연구팀제·차세대 공학연구자 육성사업 등이 진행된다.

    29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85회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2016 공과대학 혁신방안'이 확정됐다.

    창조경제를 이끌 핵심인재 육성 및 과학·기술 실용화 촉진을 위해 정부는 2014년부터 '공과대학 혁신방안'을 추진했다.

    이와 관련해 현장실습 이수학생비율은 2013년 12.8%에서 지난해 17.3%로 상승했고 2만7947곳이었던 참여기업은 4만977곳으로 늘었다. 공대 총 연구비 중 산업체 연구비 수주비는 지난해 15.5%로 2013년(13.6%)보다 증가했고, 작년 기준 공대 교원 1인당 기술이전 수입료는 2013년 276만1천원보다 늘어난 294만8천원을 기록했다.

    정부는 현장 수요자 중심으로 기존 대책을 보완하고 향후 혁신방안 등을 마련했다.

    이번 방안에 따르면 2014년 과제 보완을 위해 공대 교육과정 품질 인증을 통한 졸업생 직무능력을 보증하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주관 '공학교육 인증제도'를 대학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확대할 수 있도록 융합학과, 지연 산업 연계실적 반영 등 인증기준을 개선한다.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이수자에게는 기존 4년 실무 수련 후 가능했던 기술사 자격시험 응시자격을 부여하고 국가장학금 지원을 강화, 대학의 인증제 도입 및 활용을 유도할 계획이다.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참여 기업에 대한 정부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하고 인센티브를 확대한다.

    신규과제로는 공대생이 현장에서 필요한 문제해결능력·실무역량을 위해, 기업 현장의 실전 문제를 학생이 연구과제로 기획하고 기업 관계자가 멘토로 참여하는 '이공학연구팀제'를 운영하며 우수 연구팀에 대해서는 기술사업화·창업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에서 실시하는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해 공대생의 현장교육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소프트웨어(SW) 인재 육성을 위해 SW 중심대학을 2017년 20곳, 2019년 3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공대 혁신을 위해 대학이 특성화 전략을 기획·제안하고 연구기관, 기업 등이 참여하는 '차세대 공학연구자 육성사업'을 내년 하반기 추진한다.

    지역 공대의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지역대학 특성화사업 지원 시, 지역산업과 연계·협력 실적을 반영하고 중소기업이 공대에 필요로하는 기술개발을 요청하면 정부가 비용을 지급하는 'R&D 바우처'를 확대하기로 했다.

    6개 거점별 산학연 추진단 통해 기업의 수요를 발굴, 대학과 산학협력 연계를 지원하고 올해 하반기 '전국 산학협력 상설 협의체' 구성으로 산업계와 학계, 정부가 긴밀히 소통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는 ▲4대악 근절 상반기 추진실적 및 하반기 추진계획 ▲전파교란 대응종합계획 등이 논의·확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