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전면철거형 재개발 한계"··· 기존 주택정책 변화 예고쌍용건설·포스코건설 도시재생 사업흐름 파악 위해 '분주'
-
-
-
-
▲ 자료사진. 수도권 한 아파트 단지 공사 현장 전경. ⓒ뉴데일리경제 DB
문재인 정부의 핵심 부동산정책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리모델링시장에 기대감을 불어넣고 있다.
리모델링은 노후아파트 주거환경을 개선한다는 점에선 재건축과 같지만 사업방식이 크게 다르다. 재건축은 기존 건물을 허물고 완전히 다시 짓는 방식이지만 리모델링은 건물을 받치는 기본 구조물을 그대로 둔 채 수선·증축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4월 "그동안 몰두해 온 확장적 도시개발, 개발이익만 추구하는 전면철거형 재개발이 보여준 한계는 분명하다"며 기존 주택정책의 변화를 시사했다. 뉴타운과 재개발 거품이 꺼지며 지역 슬럼화 되거나, 도시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규모 정비 중심의 도시재생사업에 재정을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사업이 현 정부 아래 추진될 경우 매년 10조원의 공적재원을 투입해 임기 내 500곳의 구도심·노후 주거지가 새롭게 탈바꿈된다.
1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단지는 45곳. 서울 강남구 개포동 대치아파트, 송파구 가락동 현대6차아파트, 성동구 옥수동 극동아파트, 경기 성남구 분당 한솔마을 주공5단지 등이다.
이처럼 리모델링사업이 주목받는 이유는 재건축의 부정적인 요소들이 걸림돌로 작용하면서다.
실제 재건축은 사업의 절차가 복잡하고 임대주택 의무 건설, 초과이익환수제 같은 규제를 적용받는다. 또한 용적률이 높아 재건축을 하더라도 사업성이 낮은 아파트를 중심으로 리모델링 논의가 활발한 상황이다.
재건축보다 사업성이 떨어지던 리모델링이 규제 완화와 개건축의 반사이익으로 힘을 받고 있는 것이다.
한국리모델링협회 관계자는 "시기적으로 1988년 이후 생겨난(인허가 기준) 아파트들은 모두 리모델링 대상이어서 사업성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은 무한하다"며 "새 정부가 관련 법·제도를 현실에 맞게 과감히 개편해야 도시의 슬럼화·양극화와 같은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리모델링사업에 대한 수요가 있다 보니 건설업계도 들썩이고 있다. 국내 최초 수직증축 리모델링 시공 실적을 보유하고 있는 쌍용건설을 비롯해 포스코건설, 현대산업개발 등이 사업을 흐름을 잡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쌍용건설은 현재까지 수도권에서 8개 단지(6421가구), 5000억원 규모 리모델링 시공권을 따냈다. 포스코건설도 지난 2014년 주택법 시행령 개정 이후 수도권 8개 단지에서 약 9000억원의 수주고를 올렸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큰 틀에서 보면 새 정부의 기조가 도시재생에 방향성을 두고 있는 것은 맞지만 아직까지 세부적인 계획은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며 "내부적으로는 리모델링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하고 기존 수주 단지와 신규 사업장 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