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통신시장 개입으로 국내 이통사와 케이블 업체와의 대규모 인수합병이 사실상 불가능해진 상황 속 케이블 업체들이 자체적인 신성장사업 육성에 본격 나서고 있지만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해 SK텔레콤과의 인수합병을 꾀하던 CJ헬로비전이 최근 사명변경을 확정하며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 기업으로의 탈바꿈을 선언했지만, 정부의 지속적인 '찍어누르기'식 통신비 인하 정책으로 얼마나 큰 성공을 거둘지 미지수다.
정부의 통신비 인하 정책은 물론, 국내 이통사들의 글로벌 5G 시장 선점을 가로막는 각종 규제들을 풀어 합병 주체가 되는 이통사들이 합종연횡을 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는 이유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케이블 업체들이 사업다변화를 꾀하고 있는 가운데, 업계 1위인 CJ헬로비전이 사명변경의 뜻을 밝히며 새로운 변화를 예고했다.
CJ헬로비전은 오는 26일 주주총회를 열고 사명을 'CJ헬로비전'에서 'CJ헬로'로 변경하는 '사명 변경 안건' 등을 상정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텔레비전을 상징해왔던 '비전'을 사명에서 덜어내고 기존 사업영역에 대한 한계를 제거, 변화와 혁신의 의지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를두고 업계는 CJ헬로비전이 제4이통사가 되기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기준 CJ헬로비전의 사업별 매출 비중은 케이블 사업이 35%로 가장 높았는데, 실제 통신사들이 운영 중인 IPTV가 상대적으로 VOD 콘텐츠 양이 많고, 결합상품 혜택이 뚜렷하다 보니 케이블TV 가입자의 IPTV로 이동이 심화돼, 제4이통 진출을 통한 경쟁력을 강화하겠단 뜻으로 풀이되고 있다.
더욱이 새정부 출범 이후 제4이통 설립요건이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바뀜은 물론, 국감 이후 단말기 완전자급제 도입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여 CJ헬로비전의 제4이통사 가능성이 그 어느때보다 높게 점쳐지고 있다. 단말기 자급제가 도입될 경우 오프라인 유통망이 없는 CJ헬로비전에게는 큰 이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CJ헬로비전이 제4이통사가 된다고 해도 기존 이통3사와의 인수합병 없이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힘들다는게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국감을 통해 단말기 완전자급제 도입, '주파수할당대가-전파사용료' 인하 등의 여론이 이어지고는 있으나, 선택약정할인율 상향, 연말 보편요금제 도입은 물론, 정부의 '찍어누르기'식 통신비인하 정책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예정이어서, 이통사들의 매출 감소는 피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뿐만 아니라 한국 통신 가입자 수가 이미 포화 상태이기 때문에, 제4이통사의 가입자 모집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특히나 보편요금제가 도입될 경우, 망 도매대가 인하 등의 지원책이 언급되고는 있으나, CJ헬로비전이 케이블 사업 다음으로 주력하고 있는 알뜰폰 사업이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여 통신사업의 경쟁력이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업계는 최근 미국 3위 이통사인 T모바일과 4위 이통사인 스프린트가 합병을 추진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통사와의 M&A만이 정체된 시장을 돌파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이란 설명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케이블 업체들의 자생적인 사업다변화도 중요하지만, 이통사들과의 합종연횡이 없이는 결국 한계점에 다다르게 될 것"이라며 "특히 유튜브, 페이스북 등이 국내미디어 시장을 잠식 중이며, 거대 자본력을 가진 글로벌 OTT가 국내 진출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통신-방송 산업의 종속/잠식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를 타파하기 위해선 '방송+통신' 등 이종업계간 융합을 통해 망 고도화 및 투자가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는 합종연횡의 주체인 이통사들의 각종 규제정책들을 걷어내 케이블 시장과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