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 공동개발 협약식' 가져'이동통신 기반 V2X' 등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 개발 협력키로


  • LG전자가 이동통신 반도체 분야의 대표기업인 퀄컴과 자율주행차 부품시장 선점에 나선다.
     
    LG전자는 19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퀄컴과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 공동개발 협약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안승권 LG전자 CTO부문 사장을 비롯 김진용 스마트사업부 부사장과 퀄컴 자동차사업총괄 나쿨 두갈 부사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날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LG전자 서초 R&D캠퍼스 내에 이동통신 기반 V2X(차량과 모든 개체 간 통신) 등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과 미래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소 설립 및 운영에 들어갔다. 또 내년 말까지 마곡산업단지 내 연면적 1320㎡ 규모의 연구소를 추가로 설립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LG전자가 차량용 통신 및 커넥티드카 부품 분야에서 축적한 역량과 퀄컴의 최신 차량용 통신칩셋 기술을 결합한 앞선 커넥티드카 솔루션을 통해 자율주행차 부품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양사가 공동개발하는 차량용 5G 통신기술은 LTE 대비 약 4~5배 빠른 초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 지연시간도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어 차세대 커넥티드카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꼽힌다.
     
    이동통신 기반 V2X 기술의 경우 ▲차량 대 차량(V2V) ▲차량 대 인프라(V2I) ▲차량 대 보행자(V2P) 등 차량과 모든 개체 간 통신을 이동통신 기술로 연결한다. 보다 안전한 교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자율주행 시대의 필수 기반 기술이다.
     
    실제로 V2X 기술 구현시 차량 접근을 감지해 차량 간 충돌을 경고해주거나, 차량과 기지국이 실시간 교통상황과 돌발상황 정보를 교환해 경로 상의 위험요소를 운전자에게 미리 알릴 수 있다. 이 밖에도 차량이 보행자의 스마트폰을 인지해 운전자에게 보행자 접근경보를 보내는 등 본격적인 지능형 교통 서비스가 가능해 진다.
     
    김진용 LG전자 부사장은 "커넥티드카 부품 업계를 주도해 온 LG전자와 세계적인 통신용 반도체 기업 퀄컴의 기술력으로 주요 완성차 고객들이 자율주행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을 선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LG전자는 지난해 3GPP(세계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기구)로부터 이동통신 기반 V2X 기술의 표준개발을 이끄는 주관사로 선정된 바 있다. 또 차량용 통신모듈인 텔레매틱스 분야에서 2013년 이후 5년 연속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