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및 1인 가구 증가 등 인구 구조 변화, 젊은 세대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영향토종기술 4DX 전 세계 50개국 진출, 6만석 보유… 한 해 수용 가능 관람객 1억명 돌파"국내 영화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 위해 더 많이 고민하고 소통할 것"
-
"올해 국내 영화시장은 지난해보다 관객수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는 등 확연한 정체기입니다. 반면 글로벌 관객 수는 국내를 앞질렀습니다.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 해 해외에서 돌파구를 찾겠습니다."
서정 CJ CGV 대표이사는 지난 6일 오후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2017 영화시장 결산 및 2018년 트렌드 전망'을 주제로 열린 '2017 송년 CGV 영화산업 미디어포럼'에서 이같은 전략을 밝혔다.
서정 대표는 "지난해 촛불 정국 등으로 관객 수가 역신장한 가운데 올해 이에 대한 기저효과로 시장이 어느 정도 성장할 것으로 기대됐지만 올해 11월까지 국내 관객 수는 지난해에 비해 87만 명 감소했다"며 "이대로라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조금 줄어든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2013년 처음 연 관람객 2억명을 넘어선 이래 최근 5년간 정체기를 겪고 있는 한국 영화 시장은 내년에는 돌파구 마련이 절실하다"며 "이를 위해 CGV뿐만 아니라 국내 영화계가 머리를 맞대고 글로벌 시장 진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CGV는 최근에 진출한 러시아 이외에도 지속적으로 해외 극장 매물을 검토하며 글로벌 투자를 위한 복안을 다방면으로 모색하고 있다.
CGV에 따르면 지난해 말 331개였던 국내 극장 수는 올 11월 현재 352개로 21개나 늘었다. 하지만 11월까지 관객은 지난해에 비해 87만 명 줄었다.
이에 대해 서 대표는 'OTT(Over The Top)의 확대', '소셜미디어(SNS)의 확산', '인구감소' 등의 영향으로 영화 관람 패턴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서 대표는 "고객이 영화관을 찾을 수 있는 왜(Why)를 제시하고 영화관이 영화 그 이상의 감동을 줄 수 있는 곳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J CGV는 올해 4DX와 스크린X 융합 특별관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고 새로 개관한 CGV용산아이파크몰에 멀티플렉스 세계 최대 IMAX관을 개관하는 등 기술적 진화를 주도해 왔다. 영화와 문화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 '컬처플렉스(Cultureplex)' 패러다임의 진화도 꾀하고 있다. 올해는 VR파크·V버스터즈·만화카페 '롤롤' 등 VR과 만화산업을 영화관에 접목해 호응을 얻었다.
서 대표는 "내년에도 극장에서 영화 보는 재미를 더할 수 있는 영화관 기술혁신에 힘쓰고 더 나은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영화관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새로운 문화와의 접목 노력도 지속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CJ CGV는 오는 2018년 다양성 확대를 위한 노력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서 대표는 "현재 전국 18개 극장에서 22개 운영 중인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아트하우스를 내년에는 더욱 확대할 예정"이라며 "여기에 고객들이 더욱 독립·예술영화를 접하기 쉽도록 다양한 프로그램도 접목하겠다"고 설명했다.
국내 시장에서의 성장 정체에 반해 CJ CGV는 해외 시장에서 올해 큰 성과를 거뒀다.
서정 대표는 "CJ CGV는 우리 영화의 미래가 글로벌 시장에 있다는 생각을 갖고 한국 극장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며 "이미 진출해 있는 해외 시장에서는 안정적 성장을 추구하고 추가로 해외 진출의 길을 끊임없이 모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2017년에 CJ CGV가 진출한 6개 해외 국가에서는 극장 수, 관객 수, 매출 등 모든 면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처음으로 CJ CGV의 글로벌 관객 수가 국내 관객 수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외를 합하면 올해 처음으로 연간 관람객 2억명 시대도 열었다. 한 해에 전 세계 2억명 이상이 CGV에서 영화를 보는 셈.
지난 2009년 첫 선을 보인 4DX 역시 글로벌을 기반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10월 호주에 4DX 상영관을 오픈하면서 전 세계 50개국 진출이라는 성과도 달성했다. 현재 전 세계 432개관, 6만석의 좌석을 보유해 한 해 수용 가능한 관람객이 1억명에 달할 정도로 성장했다. 내년에는 글로벌 시장에서 펼치고 있는 사업들을 더욱 가속화 할 방침이다.
서 대표는 "러시아 모스크바에는 내년 12월 경 CGV 이름을 내건 극장이 최소 5개 이상 들어설 예정"이라며 "2020년에는 모스크바에 총 33개의 극장을 운영하는 1위 극장사업자가 될 것"이라며 포부를 밝혔다.
이어 "CGV가 보유하고 있는 고객 관련 각종 빅데이터를 영화업계와 더 많이 나눔으로써 함께 시장을 키워 나갔으면 한다"며 "철저한 사전 고객 분석을 통해 관객의 영화 관람 패턴이 어떻게 변하는지 예측하고 영화산업 발전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업계 이해관계자와 공유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한편 CJ CGV 리서치센터는 이 날 열린 미디어포럼에서 최근 5년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은 관객의 패턴 변화와 트렌드를 공개했다.
이승원 CJ CGV 리서치센터장은 '2017년 영화시장 리뷰'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영화 관람객이 줄어든 원인을 분석한 후 고객의 영화 관람 트렌드 변화에 맞는 차별화 전략을 제시했다.
이 센터장은 올해 '기대작들의 흥행 실패', '한국영화의 관람객 감소', '2030으로 대변되는 핵심 영화고객의 이탈' 등을 시장 축소의 원인으로 들었다.
CGV 리서치센터 분석에 따르면 올해 300만 이상 관객이 든 영화가 예년에 비해 줄고 200만 명대 영화가 대폭 늘었다. 이런 현상은 개봉 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관심이 떨어지면서 이슈화에 실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영화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지는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CGV 측은 주당 상영편수가 증가한 것을 꼽았다.
1만 명 이상 관객을 동원한 영화 편수는 2013년 282편에서 2017년 370편(12월 예상치 포함)으로 증가했다. 1만 명 이상 관람 영화가 같은 기간 매주 5.22편에서 6.85편으로 급증한 것이다.
이에 따라 박스오피스 1위 유지 기간과 최종 관객수의 70%에 도달하는 기간 역시 점점 짧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1월까지 1주일 동안만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한 영화 수는 22편으로, 2013년 9편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그 만큼 흥행 1위 영화가 자주 바뀌고 있다는 의미다.
최종 관객수의 70%에 도달하는 기간 역시 2013년 8.5일에서 2017년 6.8일로 줄어들었다. 이는 영화 흥행이 점차 단기간에 판가름된다는 의미이며 영화 마케팅에도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소가 된다.
이승원 리서치센터장은 "개봉영화의 수명이 짧아지고 있는 것은 관객들이 일상적으로 하고 있는 SNS 활동이 의도치 않는 바이럴을 형성하고 평점 의존 경향을 확산시켜 영화 흥행에는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며 "올해 일부 한국영화들이 의도치 않은 바이럴에 휘말리며 흥행에 실패하는 사례가 속속 나타났는데 향후 개봉 영화들은 이러한 현상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CGV는 또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연간 CGV 방문 고객의 연령대별 비중에서 영화를 많이 보는 세대인 30세~34세 관객은 2015년 15.3%에서 2017년 14.1%로 줄었다고 밝혔다. 미래 핵심 고객인 10대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2013년 10대 관람객은 4.3%를 차지했지만 2017년에는 2.8%로 감소했다.
반면 50대 관람객은 꾸준히 늘고 있다. 2013년 5.8%에서 올해는 10%로 크게 증가했다. 1인 관람객 비중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3년 8.1%에서 올해는 2배 이상 증가한 16.9%를 차지했다.
영화를 자주 보는 20대와 30~34세 관객의 성향도 미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CGV를 찾은 20대 관객들은 '겟 아웃', '장산범', '23 아이덴티티와' 같은 공포, 스릴러물을 즐겨봤다. 반면 30~34세 관객들은 '로건', '킹스맨: 골든 서클', '범죄도시' 같은 액션, SF물을 선호했다.
이승원 센터장은 "젊은 층이 줄어들고 있는 인구 구조의 변화, 맛집이나 카페 등을 찾아다니는 새로운 여가활동 트렌드 등이 겹치며 추후 관객들이 영화관을 찾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영화 관람 후 평점을 주고 자기 생각을 공유하려는 성향이 강해지면서 의도치 않은 스포일러가 그대로 노출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며 "내년에도 올해와 같은 인구 구조와 라이프스타일 변화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고객 지향적이고 효율적인 마케팅에 집중하고 50대 이상 고객에게 특화된 서비스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