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통사들이 최근 요금제 및 멤버십 혜택을 잇따라 늘리며 통신비 부담을 완화하고 있어, 정부의 보편요금제 도입 움직임에 대한 회의적 여론이 시나브로 일고 있다.
보편요금제가 도입될 경우, 데이터 제공량을 늘리는 대신 멤버십 등 추가 혜택 지원이 한정되는 등 오히려 부작용을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이통사들은 위약금을 면제해 주는 요금제 경쟁은 물론, 다양한 멤버십 혜택을 늘리며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 움직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SK텔레콤의 경우 메가박스, 아웃백, 롯데리아, 공차 등 주요 제휴처 4곳의 연간 할인 가능 횟수를 지난해보다 2배 늘린 '2018 내맘대로 플러스'를 최근 선보였다.
또한 제휴처 이용 금액에 따라 매월 통신비를 자동으로 할인해주는 '척척할인' 가입자 100만명 돌파를 기념해 신규 제휴처로 이마트를 추가하기도 했다.
'척척할인'은 SK텔레콤이 지난해 8월말 11번가, SK에너지 등과 제휴해 선보인 통신비 할인 서비스다. 별도 이용료가 없으며 결합할인, 신용카드 할인 등의 혜택과 중복해 할인받을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마트가 '척척할인' 신규 제휴처로 추가되면서 최대 할인 혜택(24개월 기준)이 기존 20만원에서 35만4800원으로 약 1.8배 늘어났다는게 SK텔레콤의 설명이다. 한 달 평균으로는 최대 1만4873원의 통신비가 할인된다.
KT는 LTE 데이터선택 87.8과 109요금제 가입 고객에게 미디어팩과 스마트워치, 태블릿PC 등 스마트기기 요금제 혜택을 추가로 제공하는 등 프리미엄 혜택을 강화했다.
또한 KT는 여행을 준비하는 고객 대상 멤버십 혜택을 강화했다. KT 멤버십으로 인천, 김포, 김해 공항 내 스카이허브 라운지를 본인 포함 최대 3인까지 30% 할인된 금액에 이용할 수 있게 했으며, 쇼핑 혜택도 마련해 면세점서 최대 15% 할인된 가격에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외 KT는 여행업계 1위 업체인 하나투어와의 제휴를 강화, 멤버십 포인트로 해외 패키지 여행상품을 구매할 경우 5%(최대 5만원), 해외 호텔 예약은 10%(최대 10만원) 할인을 받도록 했다.
LG유플러스는 보통 18개월 이상 쓰고 기기변경 시 할인반환금(위약금)을 유예해주는 제도를 남은기간 상관없이 유예해주기로 변경했다. 위약금은 1년 또는 2년 약정으로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하고 기간을 다 채우지 못하고 재약정을 하거나 다른 이통사로 옮길 경우 발생하는 금액을 말한다.
이에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1월부터 무약정 고객에게 추가적 데이터 혜택을 주는 '데이터 2배 무약정 프로그램', 8만원대 요금제로 11만원대 데이터 사용량을 제공하는 '데이터 스페셜C 요금제 개편'을 선보이기도 했다.
최근엔 U+멤버십 고객 대상 외출, 쇼핑, 음식 등 인기 분야 혜택을 모은 '새해 맞이 이벤트'를 선보였다.
본 이벤트는 '서울랜드 60% 할인-갤러리아면세점 적립금 3만원 제공-미스터피자 쿠폰 제공'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같은 이통사들의 가계통신비 인하 노력이 지속되자 국민들 사이에선 정부의 강제적 보편요금제 도입 움직임에 대한 강한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는 모양새다.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이 점차 동영상, 게임, SNS, 여행 등 문화·오락적 측면에서 크게 증가하는 상황 속 이통사들이 이와관련된 혜택 증가 노력을 지속하고 있어, 굳이 보편요금제를 도입할 이유가 없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오히려 보편요금제가 도입돼 이통사들의 수익이 떨어지면 고객에게 돌아가는 요금제 혜택이 줄어들고, 데이터 제공량을 늘리는 대신 멤버십 혜택 또한 지원 범위가 줄어 그 피해가 결국 소비자들에게 돌아간다는 설명이다.
업계는 보편요금제 도입시 이통 3사 연간 영업이익 절반에 해당되는 금액을 통신사들이 연마다 잃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실제 금융정보 분석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이통3사의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52조3024억원, 3조8000억원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일부 증권업계에선 보편요금제 도입시 이통 3사의 연간 매출이 2조2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통신사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는 상황 속 굳이 보편요금제를 진행해 역효과를 낳을 이유가 없다"며 "보편요금제 도입 취지가 결국엔 국민들의 높은 가계통신비 부담을 줄이는 것이니 만큼, 취지에 많은 이통사들의 피드백이 지속된다면 이후부턴 관련 부분들을 시장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통신은 필수재'란 논리를 지속 펼치며 통신시장 개입을 지속할 심산이라면, 민간에 보편요금제를 강제할 것이 아니라 정부가 직접 지원을 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