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필수설비 기반, 비슷한 서비스… "경쟁사 가격 변동에 민감"'고객 이탈 방지' 및 '시장 균형 맞추기'… "어쩔 수 없는 선택"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이통사들이 최근 통신·로밍 요금제 개편에 이어 유심 가격도 일제히 인하를 결정한 가운데, 일각에서 '담합' 의혹이 일고 있다.

    그러나 이통사들은 경쟁사들의 서비스 개편 혹은 인하 소식이 들려오면 고객들의 항의를 통한 브랜가치 하락은 물론, '통신사 갈아타기'가 가속화 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비슷한 폭의 서비스 조정이 불가피하다.

    사실상 똑같은 필수설비를 기반으로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만큼 경쟁사의 가격 변동 움직임에 민감하게 움직일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과거 MB정부 당시 '기름값이 묘하다'는 대통령 발언 하나로 정유사들이 휘발유, 등·경유 등 석유제품 가격을 담합해 왔다는 의혹의 눈초리가 끊이지 않았던 사건과 데자뷰다.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석유제품가격 역시, 실제 적정 판매가격과는 괴리가 크다. 주변 주유소에서 ℓ당 10원만 싸도 고객 쏠림이 큰 만큼, 곧바로 따라 갈수 밖에 없는 구조기 때문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이통3사는 통신·로밍 요금제 등을 일제히 개편한데 이어 8800원이었던 LTE 유심 가격을 기존 대비 1100원 내렸다.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유심 가격인하에 대한 요청이 있었고, KT가 지난달 31일부터 유심 가격 인하를 결정하자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같은 가격으로 LTE 유심비를 내렸다.

    이에 일각에서는 이통사들이 조만간 있을 5G 주파수 경매, 보편요금제 도입을 고려해 여러 서비스들의 가격 인하 담합을 하고 있는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특히 정부가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을 강력히 밀어붙이고 있는 상황 속에서 정부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여야 주파수 경매시 '경매대가 인하'가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보편요금제(기존 3만원대 요금제에서 제공하는 음성 200분과 데이터 1GB를 2만 원에 제공하는 요금제)가 도입되면 이통3사가 매년 2조 2000억원의 매출 감소가 예상돼, 보편요금제 수준에 달하는 통신 요금제 개편을 일제히 진행할 수 밖에 없었다는 분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이통사들의 서비스 개편 움직임에 5G 주파수 경매, 보편요금제 도입 등의 영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 것은 맞지만 이것을 담합이라고 보는 건 무리가 있다"면서 "정부의 압박과 경쟁사들의 움직임에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서비스 확대 및 가격 인하에 나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경쟁사들의 서비스 가격 인하 소식이 들려오면 어김 없이 고객들의 항의나 관련된 문의 전화가 빗발치는 것을 물론, 언론의 표적이 되곤 한다"면서 "이 같은 부정적 여론이 지속되면 정부는 물론, 소비자들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안겨줘 브랜드 가치에 큰 손상을 입는 만큼 즉각적인 대응에 나설 수 밖에 없다"고 억울해 했다.

    특히 경쟁사들과 비슷한 폭으로 서비스들을 개편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고객들의 '통신사 갈아타기'를 막고, 시장 균형을 맞추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설명이다.

    실제 이통3사가 요금제, 인공지능 등 비슷한 서비스들을 잇따라 출시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가입 고객 입장에서 조금이라도 유리한 조건이 나올 경우 빠른 속도로 '통신사 갈아타기'가 진행된다.

    이통사 한 관계자는 "이번 이통사들의 서비스 개편 움직임을 놓고 '담합'의 시선 보다 '고객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통신사들의 노력'으로 봐 달라"면서 "앞으로도 고객들의 통신비 절감 요소 발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