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정책금리 추가인상이 예상되면서 시장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연준은 현지시간으로 12∼13일 이틀간에 걸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친 뒤 13일 오후 2시(한국시간 14일 새벽 3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현재 1.50∼1.75%인 연방기금 금리를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하는 방안이 유력시된다. 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은 2.2%로 주춤했으나 올해 성장이 전반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이란 관측이 나오기 때문이다.
연준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하면 지난 3월에 이어 두 번째 인상이 된다. 지난 3월 이후 시장 일각에선 연준이 올해 금리를 총 4차례에 걸쳐 올릴 것이란 전망을 제기했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예고되면서 신흥국 시장은 불안한 모습이다. 신흥시장에서는 이미 시작된 미국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로 자본유출이 발생했다. 5월 들어 아르헨티나, 터키 등 신흥국의 통화가치가 급락하고 자본 유출이 심화된 게 그 예다.
신흥국 위기의 중심이었던 아르헨티나는 자본유출과 페소화 가치 급락을 견디지 못해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했고 3년간 500억 달러(53조4750억원)를 지원받기로 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연준이 금리 추가 인상에 속도를 낼 경우 '긴축발작' 가능성과 '6월 위기설'이 현실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불안한 요인은 미국만이 아니다. 연준에 이어 유럽중앙은행(ECB)은 한국시간으로 14일 저녁 통화정책을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미국, ECB의 긴축 기조가 가시화하면 신흥국이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고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흥국 불안 문제가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앞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한은 창립 68주년 기념식에서 올해 신흥국 금융 불안 문제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대외건전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이들 국가의 금융불안이 전이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면서도 “그러나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해외 리스크 요인들이 함께 현재화될 경우 파급효과 향방을 정확히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2일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바 있다. 이는 올해 3% 경제성장 전망은 유지했지만 아직까지 물가상승세가 목표치에 미달해 당장 기준금리를 올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