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로 아파트 가격은 계속 떨어지고 있지만 아파트 분양가는 계속 오르면서 부동산 시장 분위기에 역주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한해 아파트 입주물량마저 역대 최대 규모여서 미분량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1월말 기준 전국 민간아파트의 최근 1년간 1㎡당 평균 분양가격은 340만8000원으로 전월 대비 0.95% 상승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해서는 8.53% 상승한 수치다.
전국 17개 시·도 중 전월 대비 9개 지역은 상승했고 6개 지역은 보합, 1개 지역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1월 말 기준 서울의 1㎡당 평균 분양가는 760만원으로 지난해 12월(약 740만원)보다 20만원 증가했다. 전년 동월보다 97만7000원(14.75%) 올라 평(3.3㎡)당 분양가로 환산하면 2500만원이 넘는다.
최근 서울 집값이 14주 연속 하락하고 전국 부동산 경기가 계속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발생한 일이라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분양가가 시세보다 높으면 실수요자는 청약에 나서지 않게 되고 미분양 물량이 쌓이게 된다. 결국 집값 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기 때문이다.
이는 지난해 말부터 분양일정이 연기되면서 발생한 금융비용이 분양가에 반영되고 있는데다 분양가를 매긴 시점과 시세 하락 시점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으로 인한 분양단지는 분양시기가 늦어질수록 분양가가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지난해 말 각종 부동산 규제로 인해 분양을 연기했던 단지들이 최근 분양에 나서면서 당초 계획보다 다소 오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달까지 공급된 아파트들의 분양가 산정은 부동산 경기가 좋았던 9·13 대책 이전 시점에 이뤄진 경우가 많다. 정부의 청약제도 개편에 따라 공급 시점을 연기하면서 예전 분양가가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실제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 분양되는 아파트는 39만여가구에 달해 지난해(22만5000여가구)보다 70% 이상 늘었다. 최근 5년 평균 분양실적(31만5000여가구)에 비해서도 20% 가량 많은 수치로, 지난해 분양예정 물량의 50% 가량이 이월된 탓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고분양가로 신규 분양이 지속되면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부쩍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업계 한 전문가는 "실수요가 많은 서울과 신도시 등 수도권 지역은 분양가를 낮추는 것만으로도 청약성적이 나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다만 지방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미분양이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