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점심시간. 네이버 본사 1층 로비가 노조의 첫 쟁의행위로 시끄러웠다. 본사 건물 주변 쟁의 현수막을 내거는 등 분위기를 조성한 노조는 집회 시작 전 조합원들에게 풍선과 굿즈 등을 나눠줬다.
12시 15분께 집회가 시작되자 예고한 바대로 구호를 외치는 쟁의를 시작했다. 노조 측이 로비에 설치한 좌석보다 많은 200여명이 동참했다. 사측은 예상보다 많은 인원이 몰리며 사고를 우려했지만 다행히 큰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
점심시간 내내 집회 구호가 사옥에 울리자 일부 직원들은 걱정어린 시선과 함께 이번 쟁의행위에 눈살을 찌푸린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실제 네이버는 국내 어느 기업보다 좋은 근무조건과 수평적 조직문화로 타 기업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는 등 이번 복지개선 요구 쟁의 활동이 과한게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됐다.
작년 네이버의 평균 연봉은 5456만원. 이는 매출 상위 30개 기업의 평균 연봉보다 1000만원 높은 수준이다. 특히 성과급을 포함할 경우 평균 연봉이 9000만원을 넘어 설 것이라는 관측이다. 또 어린이집 운영, 직원 건강 검진 및 보험 혜택 등 다양한 복지제도 역시 큰 혜택으로 꼽히고 있다.
다행히 이번 행위가 구호를 외치는 선에서 마무리됐지만, 일부 직원들은 향후 '인터넷 대란'을 우려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현재 노사는 '협정근로자 도입'을 둘러싸고 팽팽히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만약 협정근로자 지정없이 파업에 돌입할 경우 이용자 불편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협정근로자는 '쟁의행위에 참가할 수 없는 근로자'로, 사측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달라 노조는 "협정근로자 지정은 조정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맞서고 있는 상태다.
게다가 내달 말에는 민주노총 화학섬유식품노조 산하 노동조합들과 함께 대규모 쟁의행위까지 고려한다는 입장인 만큼, 쟁의행위에 따른 이용자 불편 우려는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동영상 시대에 진입하면서 사실상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유튜브와 구글 등 글로벌 공룡기업들에게 시장을 내주고 있는 네이버가 이번 노조와의 갈등으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놓칠까 우려된다"면서 "국가 산업 전체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네이버가 4차 산업의 글로벌 주도권을 선점할 수 있도록 노조와 사측의 원만한 소통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달 네이버와 네이버 노동조합은 세종시 중앙노동위원회에서 노동쟁의 조정 절차를 진행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중노위 조정위원들은 다양한 조정안으로 제시했지만, 사측은 조합원 가운데 협정근로자의 범위가 지정되지 않았단 이유로 조정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 ▲안식휴가 확대(근속기간 첫 2년과 이후 3년마다 10일→15일) ▲남성 출산휴가 확대(3일→10일) ▲성과급 지급 기준에 대한 객관적 근거 공개 등의 조정안을 놓고도 양측의 의견이 엇갈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