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호실적-토목 정상화… 영업익, 전년比 54% 증가'부채 덜어내기' 효과, 부채비율 등 재무건전성 개선도플랜트 부문 5년 연속 '손실'에 전체 수주잔고 '지지부진' 부담 가중
  • ▲ 서울 종로구 소재 대림산업 본사. ⓒ성재용 기자
    ▲ 서울 종로구 소재 대림산업 본사. ⓒ성재용 기자

    대림산업이 지난해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어지는 주택 부문의 호실적과 원가 개선을 통한 토목 부문의 정상화 덕분으로 분석됐다. 그러면서 부채 덜어내기에도 성공하면서 재무성과도 눈에 띈다.

    다만 전반적인 호실적 속에 플랜트 부문의 부진이 뼈아프다. 영업손실이 5년간 이어지고 있으며 먹거리도 부족해 마땅한 반등 계기를 찾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매출의 20% 안팎을 책임지고 있던 부분의 부진으로 전반적인 성장성에 암운이 드리웠다는 평이다.

    11일 사업보고서 분석 결과 지난해 대림산업의 영업이익은 연결 기준 8453억원으로, 전년 548억원에 비해 54.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2702억원 손실 이후 △2015년 2717억원 △2016년 4193억원 등으로 지속 성장하면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게 됐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도 -2.90%에서 7.69%로 크게 뛰었다.

    대림산업 측은 "전년대비 매출 감소(10조9844억원, -10.9%)에도 원가 혁신을 통한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며 "주택의 지속적인 수익성 제고와 토목 정상화로 이익 창출능력이 한 단계 올라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매출원가는 9조5643억원으로 전년 11조1394억원에 비해 1조5751억원(14.1%) 줄어들었다. 토목 부문 원가율이 113%에서 91.5%로 21.5%p 개선됐고, 주택 부문도 88.1%에서 85.8%로 감소했다.

    그러면서 토목 부문 영업이익이 흑자로 돌아섰고 주택 부문도 전년대비 16.5% 늘어났다. 영업이익률 기준으로는 토목 부문(4.75%)이 전년대비 21.6%p 증가했고, 주택 부문(12.1%)은 2.43%p 개선됐다.

    사상 최대 실적에 힘입어 재무건전성도 대폭 개선됐다.

    부채 6조7834억원을 전년 7조7081억원에 비해 1조원가량 줄이면서 부채비율이 135%에서 112%로 23.2%p 낮아졌으며 차입금 의존도도 41.4%에서 33.5%로 줄어들었다.

    줄어든 '빚'으로 유동성도 개선됐다. 유동비율은 137%에서 140%로 늘었고, 현금 및 현금성 자산(2조1345억원) 역시 10.4% 증가했다.

    다만 이 같은 영업성적과 재무성과에도 이어지는 플랜트 부문의 부진과 먹거리 감소는 여전한 불안 요인이다.

    전체 매출에서 18%가량을 차지하는 플랜트 부문(최근 3년 평균 매출 비중 18.6%)의 경우 원가가 2조2982억원에서 1조1913억원으로 약 1조원 줄어들었음에도 반 토막 난 부문 매출(1조2755억원, -48.7%) 때문에 원가율(93.3%)이 1.07%p 상승했다.

    부문 영업이익도 122억원에서 350억원으로 손실 폭이 확대됐다. 특히 2014년 4323억원 손실 이후 ▲2015년 718억원 ▲2016년 1765억원 등으로 최근 5년간 총 7281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 중이다.

    뿐만 아니라 진행 계약잔액 역시 2016년 이후 줄어든 부문 신규수주로 3조8001억원에서 1조8349억원으로 51.7% 급감했다.

    지난해 플랜트 부문 신규수주 1조4201억원이 전년 2781억원보다 5.1배 늘어났지만, 이는 직전 3년 평균 1조9166억원에 못 미치는 것으로 기저효과에 불과하다는 분석이다.

    반등 계기를 찾지 못하는 플랜트 부문과 함께 토목 부문의 신규수주도 주춤(-33.6%)하면서 전반적인 수주잔액도 2015년 30조원 이후 지난해 21조원까지 지속 감소세다.

    배영찬 한국기업평가 평가전문위원은 "해외·공공 부문 신규수주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주택경기 둔화 우려로 민간건축 부문 또한 보수적인 관점에서 접근함에 따라 2016년 이후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특히 지난해에는 이란 이스파한 정유시설 공사(도급금액 2조2000억원) 수주 취소 여파로 수주잔액이 급감했으며 비우호적인 사업 환경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단기적으로 매출액 감소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