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은행이 혁신금융에 붓는 돈이 평균 13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4대 은행은 혁신금융과 관련해 목표치를 설정하고 투자 계획을 마무리했다.
은행마다 최소 3년, 최대 5년까지 투자 기간은 다르지만 1년 단위로 계산했을 때 평균 13조원에 달한다.
대부분 IP담보대출, 동산담보대출 등 정부 정책 기조에 맞춰 여신 계획을 대폭 늘렸다.
투자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신한은행이다. 2023년까지 기술금융에 56조2000억원, 동산담보대출 2000억원 설정 외에도 자체 대출프로그램인 혁신/창업기업대출을 통해 5조5000억원의 자금 계획을 세웠다.
신한은행의 경우 그룹 차원에서 한발 앞서 지난 2월부터 ‘혁신성장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대출 지원 외에도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창업·벤처기업, 4차 산업 관련 기업, 사회적기업 등 기업들에게 1조7000억원의 직·간접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신한금융그룹은 투자를 통해 기업당 약 3억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지면 최대 2만개 기업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기대했다.
우리은행 역시 5년 동안 혁신성장기업에 76조4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당초 5년간 31조 투자 계획에서 대폭 수정된 것이다. 상향 조정된 이유는 기술금융 취급액을 대폭 늘리면서 투자계획도 변동됐다.
우리은행도 계열사를 통해 혁신성장기업에 직·간접 투자에 나선다. 우리종금, 우리PX자산운용과 함께 직접투자, 그룹주도 혁신성장펀드 조성, 정부주도 혁신모험펀드 간접투자 등 3가지 프로그램 중심으로 5년 동안 2조1000억원을 지원한다.
이밖에도 핀테크지원추진단은 그룹사 디지털부서와 함께 핀테크 기업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 이종산업과 융합 등을 통해 혁신적 금융서비스 발굴에 나선다.
국민은행 역시 지식재산권 담보대출을 통해 5년 동안 60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자체 상품으론 KB혁신벤처기업우대대출과 KB셀트론도 준비했다.
또 집합자산의 가치평가 및 담보물 사후관리 등에 대한 일괄담보제도 도입을 추진하는 등 혁신적 방식의 금융지원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KEB하나은행은 투자 규모는 다른 은행에 비해 적지만 짧은 호흡으로 집중력을 높였다. KEB하나은행은 3년 동안 20조원의 투자 계획을 설정했다.
이는 혁신금융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기술금융을 순증규모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서 취급규모 기준으로 산정하면 약 30조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이와 함께 신기술사업금융사인 하나벤처스를 통해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 벤처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처럼 은행이 혁신금융에 집중 투자 계획을 밝힌 이유는 정부 정책에 부응하고자 하는 욕심이 반영된 것이다.
하지만 수 십조원에 달하는 투자 규모가 제대로 실행될 지는 미지수란 지적도 있다. 실제 정권이 바뀔 때마다 금융당국은 녹색금융, 창조금융 등 다양한 명분을 내세우며 은행의 참여를 독려해 왔다.
취지는 좋았지만 정권 말기에는 흐지부지 끝을 내 제대로 된 성과를 내지 못했다. 그나마 기술금융은 은행연합회 차원에서 누적 실적을 집계하고 있어 중간 점검이 가능한 정도다.
은행권 관계자는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키우자는 의도는 좋지만 어떻게 지원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황실이 없다는 게 아쉽다”라며 “은행권 대부분이 직접투자보다 대출에 더 힘을 쏟는 이유도 굳이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의도도 엿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