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된 경제5단체 구도, 전경련 빠진 자리 채우는 중견련공동성명·민관정협의회 구성에서도 제외“경제단체 기능 못한다고 판단”… ‘일본통’ 전경련 배제 이유
  • ▲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 ⓒ전경련
    ▲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 ⓒ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일본 경제보복과 관련해 외로운 싸움을 펼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등 주요 경제단체들이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힘을 합치고 있지만, 전경련만 따로 성명을 내는 등 홀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최순실 사태 이후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패싱' 모습이다.

    7일 재계에 따르면 과거 경제5단체는 전경련과 대한상의, 한국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무역협회 등이었다. 그러나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연루로 전경련의 위상은 추락했고, 전경련의 자리는 중견기업연합회가 대신하고 있다.

    중견련이 포함된 경제5단체는 지난 2일 일본이 우리나라를 전략물자 수출우대대상인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자 공동입장을 밝혔다. 같은날 전경련은 경제5단체와 달리 독자적인 성명만 발표했다.

    이 모습은 지난달 23일 일본 정부에 5단체가 ‘수출규제 철회 의견서’를 제출할 당시에도 나타났는데, 이때도 전경련은 포함되지 않았고, 따로 철회 건의서를 일본 경제산업성에 전달했다.

    전경련은 재계에서 ‘일본통’으로 분류되는 단체다. 1983년부터 일본의 대표적 경제단체인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과 매년 ‘한일 재계회의’를 개최하는 등 양국 기업 간의 핵심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국정농단 사태 연루로 나타난 전경련 패싱 기조로 ‘일본통’은 이번 한일 사태에서도 배제된 모양새다.

    일각에서는 그간 주요 경제정책 협의나 국가 행사에서 전경련이 배제됐지만, 일본 경제보복에 경제계의 입장을 전달하기 위해 전경련이 다시 중심이 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앞서 정부와 정치권, 재계 등 민·관·정은 지난달 31일 일본 수출규제에 맞서기 위해 민관정협의회를 출범했다. 경제단체에서는 대한상의와 경총, 중기중앙회, 무협, 중견련 등이 참여한다. 

    협의회에 참여하는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은 전경련이 제외된 것에 관해 “경제5단체로 분류되던 전경련이 협의회에서 빠진 것은 사정을 파악해보니 회원사가 하나도 없는 상태여서다”며 “현재 경제단체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윤 사무총장의 말과 달리 전경련은 삼성과 현대차, SK LG 등 4대그룹이 탈퇴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롯데와 CJ 등 500여개의 회원사가 속해 있다. 사실상 수년째 이어지고 있는 ‘전경련 패싱’이 협의회 구성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재계 관계자는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경제계가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는 만큼 과거는 잊고 탄탄한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할 시기”라며 “전경련이 일본과 가장 탄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만큼 중심에 서서 일본 문제 대응에 앞장서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