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증가세 주춤하다가 2분기 반등…16조↑전년 대비 증감액 둔화…정부 억제 정책 효과"가계 소득·거시 여건 비해 부채 증가율 높아"
-
가계부채 증가세가 정부의 대출 규제와 시장의 수요 둔화로 예년보다 둔화하는 모습이다.반면 빚의 절대 수준이 여전히 높은 점, 소득 증가 속도보다 부채가 더 빠르게 느는 점은 우리 경제에 부담되고 있다.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2분기 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2분기 말 기준 가계부채 잔액은 1556조1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6조2000억원(1.1%) 증가했다.앞서 1분기 3조2000억원(0.2%) 늘어나는 데 그치면서 올해 증가 속도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으나 2분기 반등했다.가계신용은 가계부채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로 금융회사에서 빌린 대출(가계대출)과 신용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합한 금액이다.전년 동기 대비로는 63조7000억원(4.3%) 증가하며 2014년 3분기 이후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증가율도 2016년 4분기(11.6%) 이후 10분기 연속 둔화하는 추세다.증감액으로 봐도 지난해 2분기까지 100조원 이상을 기록하다가 그 해 3분기 95조원, 4분기 86조원, 올해 1분기 72조원으로 매 분기 부채 규모가 줄고 있다.지난해 9·13 부동산 대책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관리지표 도입 등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이 효과를 보면서 증가세가 꺾인 것으로 분석된다. 가계부채 수준이 1500조원을 넘어서면서 시장의 대출 수요 자체가 둔화한 부분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부채 증가율이 가계 소득이나 거시경제 여건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서유정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정부의 대출 억제 정책의 지속성과 분양가 상한제가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등이 향후 가계대출 축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도 "전년 동기 대비 올해 1분기 명목 GDP 증가율 1.2%와 가계 순처분가능소득 증가율 3.6%에 비해서는 가계부채 증가율이 높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최근 대내외적으로 커지고 있는 경기 둔화가 가계부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부채의 확대와 축소 요인으로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며 "은행권은 부실채권 증가에 따른 대출 해소를 위해 기준을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부문별로 보면 가계부채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1467조1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5조4000억원 증가하며 전체 증가세를 견인했다.이는 예금은행을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확대되고 기타대출 중 신용대출이 증가세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예금은행은 전 분기보다 13조3000억원 증가했다.특히 아파트 입주에 따른 집단대출 증가와 전세자금대출 수요 지속에 더해 계절적 요인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서유정 팀장은 "2015~2016년 부동산시장 호조 시기에 분양된 아파트 입주·분양 물량이 올해 몰리면서 집단대출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며 "집단대출이 늘면 전세대출도 같이 늘어나는 만큼 향후 대출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판매신용 잔액은 전 분기 대비 8000억원 늘어난 89조원으로 집계됐다. 계절적 요인 탓에 1분기(-1조9000억원) 마이너스 수준에서 반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