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헬로가 새 주인 맞이를 앞두고 삼중고에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고객센터 등 일부 비정규직 직원들이 연일 CJ헬로에 대한 비난 수위를 높이며 원청·LG유플러스의 직접 고용을 요구하고 있고, 3대 주주 사모펀드가 '주주 이익 침해' 목소리를 내며 법적 대응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CJ헬로 알뜰폰 분리매각 잡음 속 KB국민은행이 LG유플러스 5G망을 통한 알뜰폰 사업에 진출, SK텔레콤·KT의 반발 움직임이 더욱 고조될 가능성이 커진 점도 골머리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희망연대노동조합 CJ헬로 고객센터지부는 최근 서울 용산 LG유플러스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LG유플러스의 CJ헬로 노동자 고용보장'을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CJ헬로에 우리의 이야기를 전달하면 '피인수 기업이라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하고, LG유플러스는 '아직 심사 진행 중이라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답한다"며 "그러는 사이 외주업체 사장들은 현장 노동자를 탄압하고 있다. 이제 진짜 사장인 LG유플러스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희망연대노조는 'CJ헬로 고객센터 인권유린 및 불법적 운영실태 규탄 기자간담회'를 국회서 열고 이 같은 의견을 개진한 바 있다. 이날도 반인권의 온상인 CJ헬로 외주업체를 퇴출하고 원청인 CJ헬로가 노동자들을 직접 고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주주들도 일어났다. 최근 CJ헬로 지분 6.66%를 보유한 홍콩계 사모펀드 운용사 '엑셀시아 캐피털 아시아(이하 엑셀시아)'가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가 소수 주주의 이익을 배제하고 있다며 국내 로펌을 선임, 법적 투쟁을 예고했다.
엑셀시아는 법무법인 넥서스를 통해 청와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민권익위원회 등에 CJ헬로 최대 주주인 CJ ENM, 그리고 LG유플러스와 CJ헬로가 소주 주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과 방안을 마련했는지 여부를 파악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들은 LG유플러스가 CJ헬로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경영권 프리미엄이 제공됐고, 이에 따른 이익은 모두 최대 주주인 CJ ENM에 귀속돼 소수 주주들의 이익이 침해 당했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기업의 지배권 변경시 소수 주주를 보호하기 위해 잔여 주식 전부를 사들이는 의무공개매수 제도를 활용하라는 요청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사업적인 측면에선 LG유플러스 알뜰폰 영역이 확장되며 SK텔레콤과 KT의 'CJ헬로 알뜰폰 분리매각' 움직임이 격화, CJ헬로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KB국민은행이 LG유플러스 망을 활용, 알뜰폰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며 '시장의 메기' 역할을 자처했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은 이번달 안으로 정식 서비스를 출시한다.
업계는 LG유플러스도 국민은행과 알뜰폰 점유율 경쟁을 하게 되지만 망 임대를 통해 수익을 얻고 점유율이 커져 경쟁사들의 불만이 고조될 것이란 관측이다.
그동안 SK텔레콤과 KT는 LG유플러스가 CJ헬로를 인수하면 CJ헬로 알뜰폰의 모든 망이 LG유플러스로 전환, 시장 왜곡이 발생한다는 우려를 지속해왔다.
이에 일각에서는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 최종 심사 기간이 더 걸릴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지난달 CJ헬로 인수를 조건부로 승인하는 내용을 담은 기업결합 심사보고서를 LG유플러스 측에 발송했으나, 공정위 전원회의와 과기정통부의 승인 절차가 아직 남아있다.
과기정통부는 방송법 제15조 2항에 따라 최다액출자자 등 변경승인을 60일 이내 결과를 통보해야 하며, 최대 30일 연장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당초 추석 전이나 이번달 안으로 심사 결과가 나올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으나, 이 같은 움직임이 지속될 경우 과기정통부도 심사에 더욱 신중을 기할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비정규직 노동자와 소액 주주들의 수위 높은 투쟁, 그리고 법적 움직임이 향후 무게를 더하며 과기정통부를 압박해 나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