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 주유소 등에 설비를 추가하는 융복합 수소충전소 구축이 확대되고, 현재 40% 수준인 국산화율도 2030년까지 100%로 끌어 올려 설치비용을 낮춘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는 22일 이런 내용을 담은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수소유통센터 설치해 적정 가격 유지
대책을 보면 먼저 수소 공급은 지역별로 생산 방식을 다양화하고 저장·운송 인프라도 확충한다. 부생수소 생산지 편중에 따른 높은 수송비용을 해결하기 위해서다. 대산·울산 등지에서 부생수소를 주로 공급받는 수도권은 인천에서 생산되는 부생수소를 활용하고 '수소 유통 허브'와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대산 석유화학단지 부생수소 위주의 충청도와 삼척 추출수소 위주의 강원도는 지역 내 액화천연가스(LNG) 인수기지에서 해외수소를 도입하는 방식을 추진한다.
정부는 2022년 수소차 6만7000대(승용차 6만5000대·버스 2000대) 보급목표를 달성하면 연간 3만여t의 수소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
수소 적정 가격 유지를 위해 수소유통센터도 설치한다. 장기적으로는 대용량 튜브트레일러 제작, 파이프라인 건설, 액화운송 확대 등을 통해 시장 중심의 가격 체계를 구축한다. 목표하는 ㎏당 생산자 공급가는 2022년 6000원, 2030년 4000원, 2040년 3000원이다.
현재 31기가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는 올해 말까지 86기(착공 포함)로 늘린다. 2022년까지 주요 도시에 250기(일반 수소충전소 190기·버스 전용충전소 60기), 고속도로·환승센터 등 교통거점에 60기 등 총 310기를 구축한다. 등록자동차와 인구수, 지방자치단체 면적, 수소차 보급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설치한다. 수소차 운전자가 최대 30분 이내 충전소에 접근할 수 있게 배치할 방침이다.
-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누적 660기를 설치해 주요 도시에서 20분, 고속도로에서 75㎞ 이내에서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2040년에는 누적 1200기를 구축해 주요 도시에서 15분, 고속도로에서 50㎞ 이내 접근이 가능하도록 단축한다는 구상이다.
◇2022년 액화수소 충전소 3기 이상 구축
정부는 수소충전소 구축 초기 원활한 서비스를 위해 재정을 적극 지원한다. 기존 주유소·LPG충전소·CNG충전소에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는 '융복합', 충전소 설비를 컨테이너 안에 배치해 설치를 간소화한 '패키지형' 설치를 확대해 입지·구축비용 부담을 줄일 방침이다. 핵심부품 국산화도 적극 추진한다. 현재 40%인 국산화율을 2030년 100%로 끌어 올려 1기당 구축비용을 25억원에서 7억5000만원 수준으로 낮춘다.
기체수소 충전소 대비 설비 면적은 20분의 1, 충전용량은 3배, 상압 수준의 저장압력, 낮은 설치·운송비 등의 장점이 있는 액화수소 충전소도 2022년까지 3기 이상 구축한다. 충전 속도를 높인 충전소 모델도 개발한다.
이용자 편의를 위해 충전소 운영현황과 대기차량·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보제공 플랫폼은 이달 말 선보일 예정이다.
수소충전소는 공공청사와 혁신도시, 수소 시범도시 등에 우선 구축하고, 관계 부처와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한 가칭 수소충전소 정책협의회를 두어 애로사항을 신속히 해결해 나갈 계획이다.
안전과 관련해선 법·기준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강화해 관리한다. 가스안전공사 내 전담기관(수소안전센터)도 설치한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방안을 통해 수소 공급 인프라 구축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지자체와 사업자, 이용자의 수소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