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GS25, 가향 액상 전자담배 판매중단정부 사용중단 권고 후 첫 사례…타 판매처들도 "판매중단 논의中"쥴 "대화 희망"… 국내서도 퇴출 수순밟나 관심
-
미국에서 촉발된 액상형 전자담배 퇴출 논란을 두고서 국내 편의점·마트 등 판매처들도 ‘쥴’ 등 액상형 전자담배 판매중단을 밝혔다. 해외에서 사망자까지 나온 유해성 논란인 만큼 정부와 여론의 동향을 민감하게 살핀 결과라는 설명이다. 전방위적 액상형 전자담배 퇴출 압박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쥴’이 한국 시장 퇴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그동안 가향 액상형 전자담배를 판매하던 이마트와 전문점 삐에로쇼핑·일렉트로마트 등 74개 매장에서 가향 액상형 전자담배 제품을 판매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판매 중단 제품은 일본 브랜드 ‘비엔토’ 7개 제품과 중국 업체 ‘릴렉스’의 2개 제품이다. 이마트 측은 “국민 건강을 고려한 조치였다”고 전했다.앞서 GS25는 편의점 업계 최초로 가향 액상형 전자담배 판매를 긴급 중단하기로 했다. GS25은 이날부터 ‘쥴(JUUL)’의 트로피칼·딜라이트·크리스프 3종과 KT&G의 시트툰드라 1종 등 총 4종의 가향 액상 전자담배 판매를 중단했다. 정부의 액상형 전자담배에 대한 위해 성분 분석 결과가 나올 때까지 해당 상품들의 판매를 잠정 중단한다는 계획이다.다만 일시적 판매중단인 탓에 본사가 점포에 남아있는 재고 처리 방안에 대해선, 수량이 다 소진될 때까지 진열대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GS25 관계자는 “1차적으로 보유물량에 대한 판매를 중단이기 때문에 정부의 공식 결과가 나올 때까지 일단 점포 내에 재고와 진열장은 그대로 놔둘 것”이라고 전했다.CU·세븐일레븐·이마트24 등 다른 편의점들은 판매중단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U 관계자는 “오후에도 (판매중단) 관련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모든 것을 조율 중인 상황이나 현재 시점으로서는 결정한 것이 없다”고 전했다. 롯데마트 등 다른 대형마트들도 상황을 지켜본다는 방침이다. 홈플러스는 액상형 전자담배를 판매하고 있지 않다.
-
업계에서는 편의점에서 액상형 전자담배 퇴출이 손해 볼 게 없는 장사라고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액상형 전자담배 판매량은 전체 담배 시장의 1%선에 불과해 매출에 큰 타격이 없다는 설명이다.여기에 정부 분석 결과 최근 문제가 된 의문의 폐질환과 액상형 전자담배 간 인과 관계가 명확해질 경우 국민 건강을 위한 행동에 가장 먼저 나선 선도적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인과 관계가 없다는 결론이 나오더라도 재판매를 하면 되기 때문에 나쁠 게 없다는 해석이다.국내에서 액상형 전자담배를 판매하는 기업은 KT&G 등 다수이지만 가장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되는 업체는 쥴랩스코리아다. 쥴랩스코리아는 한국에서 포트폴리오가 ‘액상형 전자담배’ 하나로 국한됐기 때문이다. 반면 KT&G는 주력 제품이 궐련 담배와 궐련형 전자담배고 릴 베이퍼의 판매 비중은 전체의 1% 이하라 큰 영향은 없을 전망이다.쥴랩스코리아 측은 “다른 파트너와 마찬가지로 GS25 관계자들과 지속적으로 대화할 수 있기를 희망하며, 이를 통해 업계 내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국내 성인 흡연자들에게 일반 담배에 대한 대안책을 제공할 수 있기를 고대한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도 가향 제품이 성인 흡연자들이 일반 담배에서 대안 제품으로 전환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쥴 관계자는 “당사는 약 천만 명에 달하는 한국의 성인 흡연자들에게 일반 담배에 대한 최적의 대안책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삶을 개선한다는 미션에 변함없이 집중할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 무엇보다 소매점을 비롯한 유통 및 무역 파트너들과의 협력 관계가 중요함을 인지하고 있다”고 전했다.현재 보건복지부는 정부합동으로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중단을 강력히 권고하고 현재 담배사업법에 포함되지 않는 담배 줄기, 뿌리, 합성니코틴 등으로 만든 전자담배를 담배사업법으로 규제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하는 등의 내용의 대책을 23일 발표했다.미국에서 액상형전자담배로 인한 중증 폐손상 사례가 1479건 보고됐고 이 중 33건의 사망사례가 나온데 이어 국내에서도 폐손상 의심 신고가 접수된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민관합동 조사팀을 구성해 유해성분 분석 및 인체 유해성 연구를 내년 상반기까지 완료하고 결과에 따른 후속 대응에도 나설 방침이다. 아울러 불법 판매행위, 개조행위 등을 집중 단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