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전용 안심주택' 2022년까지 5000가구 공급매입리모델링 통해 계속 살던 곳에서 거주 가능
  • ▲ '고령자 전용 안심주택' 평면도.ⓒLH
    ▲ '고령자 전용 안심주택' 평면도.ⓒLH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고령자와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새로운 주거모델 만들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존 공공임대주택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자립과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5171만명인 우리나라 인구는 2028년에 5194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67년에는 3929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출생아는 감소하는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14.9%에서 46.5%까지 늘어나며 생산인구의 고령인구 부양 부담이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급속히 늘면서 주거지원이 절실한 고령층이 많아졌지만 이들에 대한 지원책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LH와 각 지자체에서 의료안심주택 등 새로운 고령자주택을 공급하고 있지만 예산 등 현실적 문제로 인해 규모도 적고 시범적인 성격이 강하다. 특히 고령자가 현재 살고 있는 동네에서 떠나 새로운 임대주택으로 이전해야 해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LH는 정부정책에 발맞춰 고령자를 위한 맞춤형 주택모델 개발을 위해 노력해 왔다. '고령자 전용 안심주택'의 기본개념은 자신이 살던 곳에서 지역사회와 어울려 살수 있도록 주거편의시설과 건강·돌봄 등 서비스가 연계된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 주택을 개조‧재건축하는 방식을 통해 고령자가 원래 살던 지역에서 건강한 노후를 실현하면서 쇠퇴한 구도심까지 살려내는 마을의 등대 역할을 할 것을 목표로 한다.

    LH는 이같은 고령자 맞춤형 공공리모델링 주택을 2022년까지 5000가구 가량 공급할 계획이다. 실제 최근 서울 시내에 노후 방치된 기존 주택 4개 동을 철거 후 신축해 '고령자전용 커뮤니티케어 안심주택(가칭)'을 건설하기로 하고 지난해 7월 건축허가를 완료했다.

    이번에 건축되는 새로운 주택모델은 고령자와 함께 거동이 불편한 이들도 거주할 수 있도록 설계됐는데 1층은 장애인을 위한 공간, 2층은 할머니들을 위한 공간, 3층은 할아버지, 4층은 고령자 부부형으로 나눠 세대특성에 맞도록 공간을 구성하고 층마다 특화된 디자인을 적용했다.

    특히 이 건물은 법적 의무대상이 아님에도 고령자가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도록 LH 최초로 소규모주택 BF(Barrier Free·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예비인증을 취득했다. 노인·장애인 등 모든 이용자가 시설물을 이용함에 있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시공됐음을 인증받은 것이다.

    더불어 고령자 및 장애인이 안전하게 접근하고 생활하며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안전계획에도 신경을 썼다. 1층 주출입구의 전등 및 CCTV를 통해 각종 범죄안전에 신경을 쓴 것은 물론 움직임 자동감지센서와 안심전화를 통해 홀몸 어르신의 고독사도 예방할 수 있도록 했다.

    LH 관계자는 "고령자가 사는 지역에서 리모델링을 통해 커뮤니티케어 안심주택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이 최대한 자립적인 생활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며 "커뮤니티 센터와 노인여가시설, 근린생활시설 등을 통해 어르신들이 자연스럽게 지역사회와 상생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