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국방부, 2017년부터 지속 협력…해외 수입 의존 탈피 기대감육군방공학교 등 현장평가 및 기술품질원 심의 거쳐 규격 마련
-
정부가 3D프린팅으로 제작하는 금속부품의 국방규격을 국내 최초로 마련했다.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국방부와 협력해 해외 수입에 의존했던 국방부품을 국내에서 3D프린팅으로 제작 공급하게 됐다고 27일 밝혔다.양 부처는 2017년 12월 ‘국방과 3D프린팅 산업간 제조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단종됐거나 조달에 어려움을 겪던 국방 부품들을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제작하거나 실증하는데 협력해 왔다.방공무기 발칸포 운용에 중요한 부품인 ‘하우징 조절팬’은 국내에 생산업체가 없어 고장이 나게 되면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고 특히 3D프린팅 기술로 똑같이 제작해도 품질인증 기준이 없었기 때문에 국방규격이 꼭 필요한 상황이었다.이에 산업부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D프린팅 제조혁신센터를 통해 3D프린팅 기술로 ‘하우징조절팬’ 시제품을 제작했고 국방부는 육군방공학교와 운용부대를 대상으로 약 6개월간의 시제품 현장평가와 국방기술품질원 및 방위사업청의 기술검토와 심의를 거쳐 국방규격을 마련했다.방위사업법에 따라 군수품의 품질과 제작 방법 등을 명시한 국방규격이 마련되면서 ‘하우징조절팬’ 규격서상 3D프린팅 제작 방법 및 품질 등에 관한 기준을 충족하면 누구나 이 부품을 생산·제공할수 있게 됐다.양 부처는 3D프린팅 생산 국방 부품의 규격반영을 통해 안정적 공급 및 국방예산 절감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앞으로도 국방 분야 3D프린팅 기술 활용 확산을 위한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최남호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관은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국방 부품을 3D프린팅으로 제작해 국내 부품의 성능과 품질을 입증한 것을 높이 평가한다”며 “이를 발판으로 앞으로 조선, 항공 등 민간 분야까지 3D프린팅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강창호 육군 군수사 장비정비처장 준장은 “육군은 이번 3D프린팅 제조 국방 부품의 규격 반영으로 국방 부품을 상용화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앞으로도 산업부와 해·공군과도 협업을 확대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