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 2.3%+소비자물가상승률 1%’ 적용코로나19 현 상황 미반영…수정 없이 협상 돌입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금융 노사정이 대타협을 이뤄냈지만, 급여 문제만큼은 팽팽한 대립이 예상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은 교섭단체인 사용자협의회 측에 3.3% 임금 인상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금인상률은 한국은행이 2020년 전망한 경제성장률 2.3%와 소비자물가상승률 1%(1월 기준)를 더한 수치다.

    한국노총이 올해 7.9% 임금 인상을 요구한 것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지만, 공무원 임금인상률이 2.8%에 비해선 높은 편이다.

    공무원의 경우 최근 어려운 경제 여건 등을 감안해 정무직 공무원과 고위공무원단 및 2급 이상 공무원은 인상분을 반납키로 했다.

    그러나 금융노조의 임금인상률은 현 코로나19 상황을 반영하지 않았다. 당초 실무자 상견례 전까지 임단협 요구안을 수정코자 했지만 원래 계획대로 임금 인상을 추진한 것이다.

    금융노조가 임금 인상을 강하게 주장하는 이유는 지난 10년 동안 전산업 임금인상률에 비해 낮았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2010년 2% 인상을 시작으로 2019년 누적 인상률은 25.85%를 기록했다. 하지만 전산업 협약 임금인상률은 40.9% 올랐다.

    타 금융업종인 보험권이 같은 기간 30.9% 오른 것과 비교하면 은행권 임금 인상이 적게 올랐다. 같은 기간 공기업 인건비 인상률이 26.3%인 점과 비교하면 은행원과 공무원이 같은 수준으로 급여가 오른 셈이다.

    금융노조가 일단 명분을 앞세워 임단협에 나서지만 시중은행장이 그대로 받아줄지 미지수다.

    현재 경제 위기 상황에서 경영진들은 급여 반납 압박을 받고 있다. 이미 9개 금융 공공기관장과 임원은 4개월 동안 급여 30% 반납을 시행 중이고, 은행권에선 DGB금융지주가 4개월 동안 급여 40% 반납을 결정했다.

    10년 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은행권은 임금 동결로 고통 분담에 나선 만큼 올해 금융노조의 요구가 받아들여질지 관심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