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재유행에 초점 맞춰 ‘인적자원·병상가동’ 등 점검해야 할 시기 김우주 교수 “2차 대유행 앞두고 감염병 컨트롤타워 역할론 강화”이왕준 이사장 “중앙·지역·1차의료 등 영역에서 대응체계 확립”
-
오늘(6일)부터 방역체계가 ‘생활 속 거리두기’로 다소 완화된 상황이지만,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은 현재진행형으로 2차 대유행을 방어하기 위한 전반적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코로나19는 ▲1~2년간 소규모 유행 ▲가을 대규모 재유행 ▲소규모 전파 유지 등 3개의 시나리오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이 중 두 번째인 재유행 예측에 초점을 맞춰 거버넌스 확립, 의료진 확충 등 선제적 대응책이 발동돼야 한다는 주장이다.6일 대한병원협회는 ‘코로나19 특별 온라인 컨퍼런스’를 개최해 감염병 전문가들의 포스트 코로나 대응 전략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이날 발제로 나선 김우주 교수(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는 “현재 코로나19와 관련해서 1승을 거둔 상태지만 앞으로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는 모른다. 가을께 예상되는 2차전에서 패배를 할 수도 있다. 총괄적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진단했다.김 교수는 “유행커브를 낮추는 전략이 기본적으로 구사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체계 가동의 허용치(surge capacity)를 유지하기 위한 검역, 격리치료, 사회적 격리, 조기진단 등이 충실히 이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는 미네소타대학 감염병연구정책센터(CIDRAP)가 공개한 코로나19 시나리오를 소개하며 정부의 방역망 가동에 지속적인 견고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CIDRAP가 분석한 첫 번째 코로나19 시나리오는 향후 1~2년간 지속되며 소규모 유행이 일어난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가을 2차 대유행이 발생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뚜렷한 유행없이 소규모 감염만 일어난다는 예측이다.이러한 3개의 시나리오에서 김 교수는 두 번째인 가을 2차 대유행 예측을 대비해 전반적 시스템 정비와 방역체계가 가동돼야 한다고 제안했다.김 교수는 “‘생활 속 거리두기’ 등 다소 완화된 방역체계로 전환된 시점이지만 정부와 의료계는 면밀한 2차 대응을 준비하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일례로 정부는 향후 2년간 코로나19 팬데믹이 이어질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대국민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방심하다가 한순간 대유행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국민이 인식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여기에 감염병 컨트롤타워 역할에 대한 거버넌스 확립(질본의 인사권, 예산권, 법령권), 국립감염병센터의 역할(진료, 연구, 교육, 훈련, 싱크탱크), 감염병 전문가 양성이 이뤄져야 한다는 진단이다. 또 현 시점에서는 통합적 위해평가에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
◆ 효율적 의료자원 배치를 위한 ‘통합체계’ 구축이날 이왕준 명지재단 이사장은 감염병 의료시스템 확립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이른바 ‘3단계 진료체계’ 형성이다.먼저 1단계는 ‘중앙 및 권역 단위’ 레벨로 감염병센터를 확충하는 것이다. 국립중앙의료원 이전과 함께 국가중앙감염병센터 100병상을 만들고 호남, 영남, 중부권에 각각 50병상을 가동해야 한다는 주장이다.이를 두고 이 이사장은 “감염병 대응을 위한 근간이 되는 구조이지만 이를 제대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인력 충원이 선결과제다. 100병상로 치면 간호인력만 500명이 필요하다. 최소 3~5년이 걸릴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을 동시에 고심해야 한다”고 언급했다.2단계는 ‘지역 단위’로 현재 국가지정 감염병 거점병원 29곳에 추가적으로 ‘+α’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여기에 지역기반 감염병 전담병원 200곳 정도를 지정해 지역사회 전파 확대 시 주도적 역할을 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3단계는 ‘1차 진료’ 체계다. 동네의원 및 중소병원에 열성 호흡기 전용 클리닉, 외래센터를 구축해 확진자 발생 시에도 진료를 이어갈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진단이다.이 이사장은 “3단계로 구성된 감염병 대응체계과 함께 중환자 진료역량을 강화하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시급한 부분은 코로나19 환자 예후 위험요인 분석, 병상 및 필요자원 파악을 위한 예측모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이를 기반으로 2차 대유행에 앞서 중환자실, 인공호흡기, 필요의약품, 개인보호구 마련 등 안정적인 중환자 진료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여기세 중환자 이송체계와 의료진 교육 등도 동시에 수행돼야 한다는 제안이다.이 이사장은 “이번 코로나 사태는 중환자실 수가체계의 획기적 전환이 필요함을 인식시켰다. 중환자 관리는 응급의료와 같이 공공의료적 성격을 띠고 있다. 등급과 중등도에 가산제 도입 등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