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점유율 0.3%p·자가보유율 0.1%p 상승 지하·반지하·옥탑 거주 1.9→1.3% 감소
  • ▲ ⓒ 국토교통부
    ▲ ⓒ 국토교통부

    생애 최초로 주택을 마련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6년9개월로 전년 7년1개월보다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무주택기간도 11년2개월로 전년 11년9개월과 비교해 단축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6~12월 표본 6만가구를 대상으로 '2019년도 주거실태'를 조사한 결과 국민 주거수준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일 국토부에 따르면 전국 자가점유율과 자가보유율이 2006년 이후 최고치를 갱신했다. 지난해 자가에 거주중인 가구는 전년 57.7%에서 58.0%로 상승했고 자가 보유가구는 61.1%에서 61.2%로 증가했다.

    점유형태는 △자가 58.0% △보증금 있는 월세 19.7% △전세 15.1% 순이다.

    전체 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7년7개월로 전년과 동일했으며 현재주택 거주기간이 2년이내인 가구는 전체 36.4% 수준으로 조사됐다. 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연수는 6년9개월로 2014년 이후 7년 수준을 유지했다.

  • ▲ ⓒ 국토교통부
    ▲ ⓒ 국토교통부

    자가가구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는 전국 5.4배로 전년 5.5배 보다 감소했다. 다만 임차가구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중(RIR)은 15.5%에서 16.1%로 일부 상승해 향후 정책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수 비중도 줄어들었다. 지난해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중은 5.3%로 전년 5.7% 대비 0.4%p 감소했고 1인당 주거면적도 32.9㎡로 전년 31.7% 보다 향상됐다.

    여기에 전세에서 자가로 이동하는 주거상향이동 가구비중은 28.6%로 하향이동 가구비중 8.2%의 3.4배에 달했다.

    신혼부부·청년·취약계층에 대한 주거수준도 상당부분 개선됐다.

    청년·고령가구의 경우 임차가구 RIR은 △청년 20.1→17.7% △고령 31.9→29.6%로 감소했지만 1인당 주거면적은 △청년 27.3→27.9㎡ △고령 44.0→45.3㎡로 상승했다. 또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청년 9.4→9.0% △고령 4.1→3.9%로 줄어들었다.

    신혼부부 가구는 한집에 머무르는 기간이 길어졌다. 신혼부부 주거이동률은 기존 65.0%에서 61.9%로 낮아졌다. 반면 1인당 주거면적은 23.5→24.6㎡로 증가했고 지하·반지하·옥탑 거주가구도 2018년 1.9%(37만6000가구)에서 지난해 1.3%(26만5000가구)로 감소했다.

  • ▲ ⓒ 국토교통부
    ▲ ⓒ 국토교통부

    국토부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앞으로 정부는 주거복지로드맵 2.0을 토대로 무주택서민과 청년·신혼부부 등이 안심하고 저렴하게 거주할 수 있도록 장기공공임대주택 재고율을 획기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로드맵상 공공주택 105만2000가구 공급계획은 지난해말까지 42만9000가구를 공급함으로써 당초 목표인 39만5000가구 보다 3만4000가구를 상회해 달성했다"며 "올해에는 공공주택 21만가구를 공급해 장기공공임대 주택재고율이 OECD 평균 수준(8%)까지 도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신규부지 활용 및 도시재생 연계 등을 통해 2025년까지 장기공공임대 주택 재고를 240만가구로 확대, 전국 무주택임차가구 10가구중 3가구 이상이 거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