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달러화 강세 후 5월 중순부터 약세 전환美 트럼프정부, 中 압박·경제제재 강화 본격화中 기업들, 미국 내 자산 처분·자금 이전 활발
  • ▲ ⓒ김광수경제연구소
    ▲ ⓒ김광수경제연구소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급등한 미국 달러화가 지난 5월 중순부터 급격한 약세로 반전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갑작스런 달러화 급등락의 원인을 놓고 미국의 코로나19 2차 확산과 실질금리 하락 그리고 홍콩보안법 등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 간 패권전쟁 격화 등이 거론되고 있다.

    여러가지 추측 중에서도 미중간 패권전쟁의 격화로 미국 내 중국자금의 이탈 가능성이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 달러화의 명목실효환율은 올 3월 들어 갑자기 치솟으면서 급격한 강세를 보였다. 명목실효환율이란 미국과 세계 주요국간의 교역액을 가중치로 한 가중평균환율이다. 실효환율이 상승하면 달러 강세를, 반대로 실효환율이 하락하면 달러 약세를 의미한다.

    미 달러화가 3월 들어 갑자기 강세를 보인 것은 중국에서 발병한 코로나19가 유럽과 미국으로 확산되면서 안전자산인 달러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달러 강세는 5월 중순 이후 급락하면서 약세로 반전했다. 달러화는 7월에도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맞물려 금가격도 6월부터 다시 상승하기 시작해 7월부터는 상승을 넘어서서 급등하고 있다. 달러화가 급락하고 금가격이 폭등하면서 미국경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달러화 급등락이 미국과 중국의 패권전쟁에 따른 미국 내 중국자금 이탈가능성 때문이라는 경제전문가들의 주장에 힘이 실린다. 

    미국 트럼프정부는 중국에 대한 경제제재 등 압박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홍콩보안법 제정과 신장위구르 인권탄압 등 반민주적 행위에 관련된 중국과 홍콩의 고위인사들에 대해 경제제재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실제로 최근 트럼프정부는 홍콩보안법 제정과 관련한 핵심인물 11명에 대해 미국 내 자산동결과 금융거래 정지 등을 발표했다. 그런가하면 미국에 상장한 중국 기업들 가운데 미국 회계기준에 맞지 않는 중국 기업은 2022년 1월까지 상장폐지 하기로 결정했다.

    또 첨단산업을 둘러싼 중국 기업에 대한 압박을 전방위적으로 확대 중이다. 통신사와 앱스토어, 스마트폰의 앱, 클라우드서비스, 헤저케이블의 5개 분야에서 중국기업을 배제한다는 것이다.

    경제제재 강화로 중국의 반발은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시진핑정부나 중국 기업 입장에서 취할 수 있는 조치가 마땅히 없는 실정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김광수경제연구소의 김광수 소장은 “중국입장에서 가장 민감한 부분은 대중국 금융제재로 중국 기업과 중국 고위인사의 미국 내 자산동결과 금융거래 정지”라며 “이는 중국 정부나 중국기업들이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것인데 바로 이런 제재가 5월들어 달러화가 급락하게 된 배경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중국 기업이든 개인이든 고위층 인사든 트럼프 정부가 자산동결과 금융제재 위험에 대비해 미리 손을 써야겠다고 생각할 것”이라며 “이들이 트럼프정부의 금융제재가 시작되기 전에 미리 미국 내 자금을 해외 등으로 옮기면서 달러화의 갑작스런 약세 반전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론했다.

    실제로 5월 중순부터 시작된 달러화 약세는 특정 통화에 대해서만 약세를 보인 것이 아니라 거의 모든 통화와 금에 대해 전위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중국 기업과 중국인이 미국 내 자금 또는 자산을 처분한 자금을 유럽과 일본, 금, 중국 본토 회귀 등으로 무차별적으로 이전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