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인프라 구축, AI·IoT 기술 통한 지능형 항만 설계, 5G 통신모듈 제공글로벌 항만물류 경쟁력 향상, 산업 생태계 육성 마중물 역할 기대
  • SK텔레콤은 해양수산부와 부산항터미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IPTL사업추진단과 ‘지능형 항만 5G 테스트베드 구축 활용·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5G 지능형 항만(Intelligent Port)이란 5G 초고속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자동·자율적으로 물류의 흐름을 최적화한다. 항만 내 화물, 선박, 작업자, 등각 물류자원들 간에 디지털 위치와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SK텔레콤과 해수부 등은 ▲5G 지능형 항만 테스트베드 구축 ▲5G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한 지능형 항만 운영효율화 및 항만안전 기술개발 ▲국내 중소기업·스타트업과 연계한 항만 소프트웨어 산업 생태계의 체계적인 육성 지원에 적극 협조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5G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및 시험용 5G 통신모듈 제공 ▲5G 지능형 항만 전략 추진 및 체계적인 5G 기반 항만물류 산업 생태계 육성 지원 등을 적극 수행할 예정이다.

    이날 양해각서 체결식에서는 지능형 항만 5G 테스트베드 서비스 시연도 이뤄졌다. 5G 환경에서의 지능형 CCTV 솔루션, 항만 IoT 위치센싱 솔루션의 성능 비교를 각각 진행함으로써, 5G 환경에서의 지능형 항만 미래 운영 모습과 정보 제공 과정을 시연했다.

    정준호 해수부 스마트해상물류추진단장은 “국내 첫 정부 주도의 항만 5G 테스트베드 시범구축을 통해, 항만물류 산업 생태계 육성 및 발전을 위한 공동협력체제가 구축되었다”며 “각 기관의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시너지가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심상수 SKT Infra Biz. 본부장은 “SK텔레콤은 5G, AI, IoT 등 New ICT를 활용해 5G 기반 지능형 항만 구현에 앞장설 계획”이라며 “5G를 통해 대한민국 항만 물류의 혁신을 앞당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