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금융연구원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5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 혁신 토론회에서 '디지털금융의 확산과 은행의 대응'을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예금 때문에 은행이 경제 체계 안에서 여전히 특별하고 중요한 기관이라고 평가하면서 핀테크·빅테크의 은행 산업 진출 확대로 경쟁이 강화하고 산업의 구조적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그러면서 은행이 획기적으로 변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핀테크·빅테크의 은행업 진입 확대 대응 방안으로 ▲자금중개 기능 안정성 확보 ▲디지털금융 경쟁력 확보 ▲고객 만족도 향상 ▲점포-고객과의 관계를 통한 고급 정보 수집 등을 꼽았다.
그는 "은행의 모든 상품과 서비스를 비대면으로 24시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맞춤형 서비스 경쟁력이 중요해졌다"며 "인공지능기반 맞춤형 자산관리서비스와 빅테크가 접근할 수 없는 외국환 서비스, 기업용 거액 송금 서비스 등을 비대면으로 제공하면 차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어 "미래 은행 점포는 업무처리보다 고객이 상담이나 민원 해결을 위해 방문하는 장소로 바뀔 것"이라며 "고객 금융 상담 역량을 강화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교차판매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