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공간정보 융복합 활용 기반 마련 목표
-
국토교통부는 국가공간정보의 통합·활용 환경 개선을 위해 추진한 '클라우드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통합 및 융·복합 활용체계 구축 1단계 사업'을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국가공간정보센터는 2009년 5월 설립 이후 45개 기관, 73개 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되는 각종 국가공간정보를 수집·제공하는 허브 역할을 해왔다. 다만 상이한 시스템 환경 및 분리된 운영장비 위치에 따른 관리 불편, 시스템 노후화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 증가 등으로 전반적인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이에따라 국토부는 클라우드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통합 및 융·복합 활용체계 구축 사업을 통해 오는 2022년까지 3단계에 걸쳐 공간정보 융·복합 활용 기반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사업을 통해 구축된 클라우드 기반 국가공간정보 통합 플랫폼(K-GeoPlatform)은 표준화된 국가공간정보 공급 및 서비스 활용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국가공간정보센터에서 운영 중인 공간정보Dream, 국토정보시스템,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한국토지정보시스템 등 국가공간정보 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통합을 비롯 데이터 표준화를 통한 국가공간정보의 통합 DB 구축 및 품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최근 완료한 1단계 사업의 경우 ▲전산자원의 클라우드 전환 및 오픈소스 대체 ▲공간정보의 표준화를 통한 통합 DB 구축 및 품질 향상 ▲공간정보 개발 플랫폼 및 활용 서비스 구축 등이 주요 내용이다.우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광주센터와 대전센터로 분산된 전산자원을 광주 G-클라우드로 통합·구축하고, 필요한 전산자원을 새롭게 도입해 운용 편의성 및 안정성을 확보했다.시스템별로 산재돼 활용 중이던 외산 소프트웨어는 오픈소스 및 국산 소프트웨어 대체를 통해 유지비용 절감 및 국내 기술 경쟁력을 강화했다. 국토정보시스템의 통계 테이블,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에서 파일로 보관 중인 속성·도형정보는 표준화를 적용한 통합 DB로 구축했으며, 이에 대한 공간정보 품질검사 및 생산기관의 오류정비 지원 체계도 마련했다.또 공간정보 개발 프레임워크를 구축해 좌표변환, 공간분석 등 공간정보 활용 서비스 개발을 위한 각종 API를 제공하고 플랫폼 내에서 각종 개발 편의기능을 마련했다. 아울러 기존 공간정보Dream을 통해 제공하던 서비스를 클라우드 플랫폼 환경으로 이식하면서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남영우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클라우드 기반의 국가공간정보 융·복합 활용체계를 마련해 공유함으로써 향후 5년간 약 900억원에 이르는 비용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며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에 대한 기술적 부담 경감 및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 창출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